2금융권 대출 지난해 87조 급증...확인된 풍선효과

증권·금융 입력 2017-02-13 18:30:00 수정 2017-02-13 18:30:00 정하니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본문 리드] 지난해 가계나 기업 등이 은행이 아닌 2금융권에서 빌린 돈이 사상 최대 폭으로 불어났습니다. 은행권의 대출 심사가 강화되면서 돈을 빌리기 까다로워지자 그 풍선효과로 2금융권 대출이 급증하고 있는 건데요. 저소득층의 상환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앵커리포트입니다. [기자]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현재 비은행금융기관의 여신 잔액은 724조원으로 1년 전보다 13.7%, 87조원 넘게 불어났습니다.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낸 이후 가장 많이 늘어났습니다. 비은행금융기관의 여신 잔액은 지난 2007년 360조원 수준이었지만 9년 새 두 배로 커졌습니다 비은행금융기관은 상호금융사,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자산운용사, 생명보험사 등으로 대부업체는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금융기관별로 보면 저축은행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는데 지난 1년 새 여신 잔액이 22%, 7조8,000억원 급증했습니다. 새마을금고도 21%, 15조6,000억원이나 불었고 이어 신용협동조합, 자산운용회사, 상호금융도 두자릿수대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습니다. 지난해 2금융권에서 이처럼 대출이 급증한 것은 은행권 대출심사 강화에 따른 풍선효과로 풀이됩니다. 가계 빚이 급증하자 금융당국은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소득심사를 강화하는 내용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도입했고 은행권에서는 대출심사를 강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1월 말 현재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08조원으로 한 달 동안 585억원 늘어나는 데 그치는 등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되는 모양새입니다. 은행에서 돈 빌리기 어려워진 가계와 기업이 2금융권으로 발길을 돌리면서 2금융권 대출은 불어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당분간은 이 같은 풍선효과로 2금융권 대출은 계속 늘어날 공산이 큽니다. 통상 은행보다 대출금리가 높은 비은행 금융기관의 대출이 계속 늘어남에 따라 저소득층과 저신용층의 상환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정하니기자 honey.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