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너지드림센터, 제로에너지건축물 중 최고 등급 인증

경제·산업 입력 2019-01-18 11:05:00 수정 2019-01-18 11:05:00 정창신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서울시의 대표적인 제로에너지 공공건축물인 서울에너지드림센터가 본인증 건물 중 최초로 3등급(ZEB 3)을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 2017년부터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를 시행해 건축물의 에너지자립률에 따라 최저 5등급(자립률 20%)부터 최고 1등급(자립률 100%)까지 등급을 부여하며, 건축 단계에 따라 예비인증(설계단계)과 본인증(준공후)으로 구분해 인증하고 있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이란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자립을 구현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에너지자립률은 건축물 에너지 소비량 대비 신재생 에너지 생산량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서울에너지드림센터의 에너지자립율은 3등급(자립률 60~80%)에 해당하는 60.37%로 평가됐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2012년 9월에 준공된 서울시 소유의 국내 최초 제로에너지 공공건축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건축(Passive)·설비(Active) 기술이 적용돼 에너지 사용량이 낮고, 272.16kW급 태양광 발전시설 등을 통해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하는 에너지 자립형 건물이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고단열·고기밀 외피, 고효율 삼중창호, 자동 외부 베네시안 블라인드, 중정과 경사벽을 이용한 자연채광의 활용 등 패시브(Passive) 건축 기술이 적용됐으며, 증발냉각방식의 열회수환기시스템, 자기부상형 무급유 터보냉동기, 바닥복사 냉난방 시스템, 자동조명제어시스템 등 액티브(Active) 시스템이 적용됐다. 패시브(passive) 건축기술은 건물의 형태, 구조, 공간구성, 외피계획 등을 통해 기계적 장치(설비)의 도움 없이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조절하는 기술이다. 액티브(active) 시스템은 건물 내부의 환경(열·빛·음) 조절을 위해 에너지를 사용하는 기계적인 설비와 신재생에너지 발전 및 이용 설비를 의미한다. 이상훈 서울시 환경정책과장은 “서울에너지드림센터의 제로에너지건축물 본인증 획득은 기존 건축물로는 최초의 사례”라며 “에너지 소비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물 부문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서울시는 신축 공공건축물은 물론 기존 건축물의 제로에너지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정창신 기자

csjung@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