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초가 금연하면 수명 2.4년 연장…암 유병률도 크게↓

50세 이전에 담배를 너무 피운 ‘골초’가 ‘비흡연자’로 살았더라면 수명은 2.4년 연장되고 암, 당뇨, 심장질환, 고혈압 등에 걸릴 확률도 훨씬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14일 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건강행태의 변화에 따른 질병 예측 및 질병 부담 추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흡연량의 감소는 ‘기대여명’을 늘릴 뿐만 아니라 ‘장애가 없는 기대여명’과 ‘질환이 없는 기대여명’까지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연구자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이용해 2012년 당시 51, 52세였던 국내 흡연자를 골라냈다.
흡연량이 상위 30%에 해당하는 흡연자의 기대여명, 장애가 없는 기대여명, 질병이 없는 기대여명은 각각 32.65세, 25.14세, 12.17세였다. 평균적으로 64세까지는 건강하고, 77세 이후에는 장애가 생기고 84세가 넘으면 사망한다는 얘기다.
이들이 흡연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기대여명은 35.01세로 흡연했을 때보다 2.36년 증가했다. 장애가 없는 기대여명은 26.54세로 1.40년, 질병이 없는 기대여명은 13.80세로 1.63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 유병률도 크게 떨어졌다. 상위 30%의 흡연량을 0으로 줄인 결과, 암뿐만 아니라 당뇨, 심장질환, 폐 질환도 유병률이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흡연량 하위 30%에 대해 같은 조건으로 분석한 결과, 기대여명은 35.81세에서 36.02세로 0.21년 증가했고, 장애가 없는 기대여명은 27.21세에서 27.34세로 0.13년 증가, 질병이 없는 기대여명은 12.09세에서 12.22세로 0.13년 증가했다. 하위 30%의 흡연량을 0으로 줄였을 때 암에 걸릴 확률은 의미 있게 감소했지만, 그 외 만성질환의 경우 유병률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이런 연구 결과로 유추해보면, 금연정책은 흡연량이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될 때 더 효과적이다.
보고서는 “50세 이전의 흡연량이 50세 이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50세 이전의 흡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담뱃값 인상이나 금연광고 캠페인 등이 효과를 보고 있지만, 고 흡연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남성 흡연율은 2014년 43.5%, 2015년 40.3%, 2016년 40.6%, 2017년 39.3%로 감소 추세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는 여전히 상위권이다.
한편, 정부는 2014년 9월 2020년에 성인 남성 흡연율 29% 달성을 목표로 ‘범정부 금연종합대책’을 수립했고, 2015년 1월 담뱃값 인상, 2016년 12월 담뱃갑 경고 그림 부착 등 금연정책을 강화해왔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해남군, 농기계임대사업소에 '콩 선별 셀프 작업장' 운영…농가 호응 커
- 서울경제TV 광주전남 주식회사, 스카이장례식장과 상호 협력 업무협약
- 국립중앙박물관 관람객 510만명…외국인 관람객은 3.7%
- 김희수 진도군수 "지역방위 역량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
- 김보라 안성시장, '2025 안성 아트굿즈 공모전' 수상자 만나
- 평택시,‘2025 K-ESG 경영대상’서 국토교통부장관상 수상
- 의왕시, 하반기 일자리박람회 30일 개최
- 인천 남동구, 장애인 주거환경 개선
- 도성훈 인천교육감, “예술이 곧 교육, 교육이 곧 예술”
- 인천 중구, '영종구' 정체성 담은 상징물 선보인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9월 자동차보험 손해율 93.1…전년比 7.3%↑
- 2신한투자증권, ‘처음ISA’ 서비스 가입고객 5000명 돌파
- 3해남군, 농기계임대사업소에 '콩 선별 셀프 작업장' 운영…농가 호응 커
- 4서울경제TV 광주전남 주식회사, 스카이장례식장과 상호 협력 업무협약
- 5대한항공, 美 록히드마틴과 군수지원 파트너십 체결
- 6하이프리 연구전담부서, ‘2025 수출 붐업 코리아’ 참가
- 7종근당, 신약개발 전문회사 '아첼라' 설립
- 8새벽네시, 국내 최초·최대 마케팅 컨퍼런스 'IMPACT 2025' 개최
- 9국립중앙박물관 관람객 510만명…외국인 관람객은 3.7%
- 10김희수 진도군수 "지역방위 역량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