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상생형 스마트공장 통해 소·부·장 국산화 고삐”

정부가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해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유망 중소기업 발굴 및 육성에 팔을 걷어부쳤다. 상생형 스마트 공장 구축 지원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기술 국산화를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와 삼성전자, 중소기업중앙회는 ‘소재·부품·장비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의 1호 기업으로 선정된 에스비비테크에서 30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와 대기업이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분야의 유망 중소기업의 스마트 공장화를 지원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진행됐다. 에스비비테크는 일본에서 생산·공급되는 ‘하모닉 감속기’의 국내 양산에 성공한 기업으로, 하모닉 감속기의 주요 부품과 감소기 조립의 주요공정을 개선하고자 상생형 스마트공장을 추진하고 있다. 하모닉 감속기는 모터의 힘을 증가시키거나 정위치로 이동시켜주는 감속기를 말한다. 지원사업에서 선정된 중소기업들은 스마트공장 구축 수준에 따라 6,000만원에서 1억원까지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또,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이끄는 삼성전자 멘토들이 기업 현장을 방문해 주요 문제를 해결하는 맞춤형 기술 지도도 제공한다.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대를 보급할 방침으로 이를 위한 대표적인 사업이 지난해부터 중기부와 중기중앙회, 삼성전자가 시작한 상생형 스마트공장이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이날 협약식에서 “중소기업들을 만나보니 일본보다 앞선 기술을 가진 히든 챔피언들이 국내에 많다는 것을 느꼈다”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연결돼 소부장 분야 유망 중소기업들이 많이 배출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윤부근 부회장은 “삼성과 거래가 없는 국내 중소기업도 성장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며 “현재 200여명 삼성전자 제조 전문가를 현장에 투입했다”고 설명했다. 서승원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은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중소 기업들에 대해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과 함께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통해 오늘 이후로 많은 중소기업들의 국산화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김혜영기자 jjss1234567@naver.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H-삼성전자, 임대주택 스마트홈 서비스 저변 확대
- 파이어버스터, ‘스키핑 현상’ 해결로 화재 안전 패러다임 주도
- 제이시스메디칼, ‘임카스 아메리카 2025’서 덴서티·리니어지 소개
- 伊·韓 화장품 산업 교류의 장 '뷰티 데이즈' 성료
- 미나글로벌, 차세대 안티에이징 브랜드 ‘디그램’ 선봬
- 금감원, 한화에어로 유상증자에 정정신고서 제출 재요구
- CJ CGV, ‘CGV고덕강일’ 17일 신규 오픈
- 기아, ‘2025 뉴욕 국제 오토쇼’ 참가
- 엑소텍, SOC2 Type 2 인증 획득…"보안 역량 이중 검증"
- 스피드플로어, ‘수평 상하차 장치’ 안전·물류 혁신 동시 실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LH-삼성전자, 임대주택 스마트홈 서비스 저변 확대
- 2광주은행, 대학생·청년 금융애로 해소 위한 'KJB햇살론유스' 출시
- 3NH농협은행, 법무법인 센트로와 ‘부동산 자산관리 법률자문’ 협약
- 4파이어버스터, ‘스키핑 현상’ 해결로 화재 안전 패러다임 주도
- 5토스뱅크, '기부하트' 캠페인…“좋아요 누르면 기부된다”
- 6정치권·시민단체, 송영길 대표 정치탄압 중단해야
- 7"죽순요리 맛 보러 오세요"…담양 대나무축제 내달 2일 개막
- 8제이시스메디칼, ‘임카스 아메리카 2025’서 덴서티·리니어지 소개
- 9伊·韓 화장품 산업 교류의 장 '뷰티 데이즈' 성료
- 10미나글로벌, 차세대 안티에이징 브랜드 ‘디그램’ 선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