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뜨거운 전기차 시장…국내 업체들도 파이 키운다
[서울경제TV=이민주 기자] 중국이 지속적으로 전기차 시장을 넓혀가는 가운데 지난 1일 중국 건국 70주년 국경절 열병식에는 색다른 모습이 연출됐다. 그동안 최신식 무기를 뽐냈던 이 행사에서 전기 청소차가 등장한 것이다. 비야디와 베이징환보그룹이 공동 개발한 신형 ‘T8’ 전기 청소차는 열병식에 앞서 청소 시연을 보이며 중국 업체의 전기차 기술력을 알렸다. 중국이 얼마나 전기차에 힘을 주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국내 전기차 배터리 관련 업체들도 자동차 시장 변화 선도에 나서고 있다. LG화학은 5년 후인 2024년까지 전기차 배터리 매출을 31조 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포부로 지난해 기준 35GWh 수준이었던 생산능력 역시 110GWh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글로벌 업체와 합작법인(JV)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 들어 전기차 배터리 업계에서 JV는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를 잡고 있다. 파나소닉은 도요타와 JV 설립을 발표했고, 폭스바겐 역시 노스볼트와 합작을 알렸다. 이미 중국 지리자동차와 JV 설립을 발표한 LG화학은 미국 최대 자동차 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와도 연결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GM은 파업 중인 미국자동차산별노조(UAW)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 설립을 협상 카드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로써는 자체 배터리 기술력이 없는 GM의 합작 파트너로 10년간 협력 관계를 유지한 LG화학이 후보로 꼽힌 것이다. 로이터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LG화학은 약 2조 원을 들여 2022년까지 미국에 전기차 배터리 제2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다. GM과 합작이 이뤄진다면 성공적으로 제2공장 안착이 가능할 전망이다.
LG화학과 협력 관계인 주요 국내 업체들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디에이테크놀로지(196490)는 노칭과 폴딩 등 후공정 설비의 국산화에 최초로 성공한 2차전지 생산자동화설비 및 FPD검사 설비 업체로 LG화학의 대표적인 협력사로 알려졌다. LG화학이 전기차 배터리 관련 규모를 키우면서 디에이테크놀로지 역시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중국 완샹과 스태킹 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한 것을 시작으로 꾸준히 수출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에는 중국 최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업체인 장성기차에 337억 원 규모의 스태킹 장비를 공급하기도 했다.
향후에도 전기차 관련 산업은 지속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 업계 관계자는 “최근에는 중국뿐만 아니라 유럽, 미국 등 전기차 시장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며, 국내 업체들 역시 이 트렌드에 맞춰 파이를 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완성차, 배터리, 설비 업체들이 힘을 합치는 사례가 계속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李대통령, 호우 피해 관련 '특별재난지역 조속 선포' 지시
- 새만금개발청장에 김의겸 임명…차관급 4곳 인사
- '1인당 최대 40만원' 민생회복 소비쿠폰 21일부터 신청
- 조주완 LG전자 CEO "작은 관찰이 혁신으로"
- 삼성물산, 4507억 규모 신정동 재개발 시공사 선정
- 코트라, 'AI 위원회' 신설…"AI 3대 강국 도약"
- 김건희 특검, ‘집사 게이트’ 카카오모빌리티 전 CFO 소환 조사
- 이마트24, 무인 과일냉장고 '핑키오' 편의점 첫 도입
- 노브랜드 버거, 민생회복 위해 가맹점 상생 지원
- 삼성·LG전자, 수해 피해지역서 특별점검·피해복구 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상북도-안동시, 투자 활성화 간담회 개최…지역경제 협력 강화
- 2달성군, ‘청렴콘서트’로 청렴 교육 새 지평 열어
- 3장성군, 535mm 극한호우 속 인명피해 '제로' 기록…신속 대응 빛났다
- 4이 대통령, 이진숙 지명 철회...강선우는 임명 수순
- 5李대통령, 호우 피해 관련 '특별재난지역 조속 선포' 지시
- 6새만금개발청장에 김의겸 임명…차관급 4곳 인사
- 7포항시, ‘No-Code 제조혁신’ 시동…지역 제조업 디지털 대전환 가속
- 8포항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본격 지급…민생경제회복 총력
- 9영천시, 집중호우 피해지역 긴급 현장 점검
- 10경주시, 반다비체육센터 건축설계공모 당선작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