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말 은행 자본비율 소폭 상승…당기순익 증가 영향

[서울경제TV=고현정기자] 은행의 자본비율이 소폭 상승했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9월 말 현재 19개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40%, 기본자본비율은 13.36%, 보통주자본비율은 12.76%,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60%로 집계됐다. 이는 6월 말 대비 각각 0.05%p, 0.07%p, 0.05%p, 0.09%p씩 오른 것이다.
3분기 중 은행들의 자본증가율은 총자본 기준으로 2.0%로 위험가중 자산 증가율(1.7%)을 소폭 상회했다. 연결 당기순이익이 3조4,000억원 증가했고, 증자·자본증권 발행 등으로 총자본이 4조9,000억원 늘었다. 위험가중자산은 신용위험 가중자산을 중심으로 26조5,000억원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씨티(19.51%)·광주(16.71%)·신한(16.46%)·국민은행(16.42%) 등의 총자본비율이 높았다. 수협은행(13.97%)과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11.85%), 카카오뱅크(9.97%)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케이뱅크는 6월 말과 비교해 총자본비율이 1.23%p 올랐으나 카카오뱅크는 1.78%p 떨어졌다. 3분기 중 케이뱅크는 소규모 자본 유입이 있었지만 카카오뱅크는 지배구조 문제가 정리가 안 돼 유상증자가 미뤄진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지난달 유상증자가 이뤄지면서 총자본비율이 13%대까지 올라갔다.
국내 9개 은행지주회사(은행을 계열사로 둔 지주사)의 자본비율은 2분기 말과 비교해 대체로 하락했다. 총자본비율은 13.62%, 기본자본비율은 12.25%로 각각 0.02%p씩 떨어졌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1.37%로 0.06p 하락한 반면, 단순기본자본비율(5.76%)은 0.05%p 올랐다. 은행 지주사들의 총자본은 5조4,000억원 증가했고, 위험가중자산도 41조6,000억원 늘었는데 위험가중자산 증가율(3.3%)이 자본 증가율(3.1%)을 앞질렀다. KB·하나·신한·농협 등 대형 지주사들의 총자본비율은 14∼15%대를 기록했다. 우리지주(11.44%)와 한국투자지주(10.95%)는 비교적 낮았다./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아이톡시, 자본잠식 탈피 '절실'…돈 넣겠다는 법인 정체는
- 키움증권 "절세계좌로 ETF 모으면 현금 페이백"
- 삼성생명, 이승호 금융경쟁력제고TF장 사장 승진
- 신한證, 전 임직원 대상 AI 교육 역량 강화
- NH선물, ‘EUREX API 수수료 할인 이벤트’ 진행
- "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하나은행·네이버페이·SK브로드밴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해 협력
- 업비트·빗썸,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4분기 전망은 '안갯속'
- 차기 금투협 회장 ‘3파전’…코스피 5000 이끌 적임자는
- 'AI 거품론'에 코스피 3900 붕괴…"검은 금요일"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당진시, 청소년 목소리 정책으로 담는다
- 2아산시, 겨울철 대비 ‘아산형 감염병 대응체계’ 가동
- 3천안시, ‘안심식당’ 현장점검으로 외식 위생 강화
- 4당진시, 고구마의 날… ‘당진호풍’ 전국 알리다
- 5인천시, 인천유나이티드 K리그2 우승·1부 리그 복귀 달성
- 6조용익 부천시장, 항일독립유공자 추모제서 희생정신 강조
- 7정관장, 'GLPro혈당 루틴 에디션' 한정판 출시
- 8아이톡시, 자본잠식 탈피 '절실'…돈 넣겠다는 법인 정체는
- 9국순당, 프랑스 부티크 와이너리 3곳 와인 동시 론칭
- 10애경그룹, 정기 임원인사 단행…"재도약 속도감 있게 추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