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말 은행 자본비율 소폭 상승…당기순익 증가 영향

[서울경제TV=고현정기자] 은행의 자본비율이 소폭 상승했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9월 말 현재 19개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40%, 기본자본비율은 13.36%, 보통주자본비율은 12.76%,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60%로 집계됐다. 이는 6월 말 대비 각각 0.05%p, 0.07%p, 0.05%p, 0.09%p씩 오른 것이다.
3분기 중 은행들의 자본증가율은 총자본 기준으로 2.0%로 위험가중 자산 증가율(1.7%)을 소폭 상회했다. 연결 당기순이익이 3조4,000억원 증가했고, 증자·자본증권 발행 등으로 총자본이 4조9,000억원 늘었다. 위험가중자산은 신용위험 가중자산을 중심으로 26조5,000억원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씨티(19.51%)·광주(16.71%)·신한(16.46%)·국민은행(16.42%) 등의 총자본비율이 높았다. 수협은행(13.97%)과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11.85%), 카카오뱅크(9.97%)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케이뱅크는 6월 말과 비교해 총자본비율이 1.23%p 올랐으나 카카오뱅크는 1.78%p 떨어졌다. 3분기 중 케이뱅크는 소규모 자본 유입이 있었지만 카카오뱅크는 지배구조 문제가 정리가 안 돼 유상증자가 미뤄진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지난달 유상증자가 이뤄지면서 총자본비율이 13%대까지 올라갔다.
국내 9개 은행지주회사(은행을 계열사로 둔 지주사)의 자본비율은 2분기 말과 비교해 대체로 하락했다. 총자본비율은 13.62%, 기본자본비율은 12.25%로 각각 0.02%p씩 떨어졌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1.37%로 0.06p 하락한 반면, 단순기본자본비율(5.76%)은 0.05%p 올랐다. 은행 지주사들의 총자본은 5조4,000억원 증가했고, 위험가중자산도 41조6,000억원 늘었는데 위험가중자산 증가율(3.3%)이 자본 증가율(3.1%)을 앞질렀다. KB·하나·신한·농협 등 대형 지주사들의 총자본비율은 14∼15%대를 기록했다. 우리지주(11.44%)와 한국투자지주(10.95%)는 비교적 낮았다./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뉴로랩-광주시, AI·협동로봇 기반 '랩오토메이션' 시장 진출 가속화
- 한패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신청…IPO 시동 본격화
- 뱅크샐러드, 고객 대상 금융 피해 보상 위한 '해킹 피해 보증서' 제공
- CJ, 올리브영 매출 성장 기대…목표가↑-대신
- "휴머노이드 로봇 성장기…아이텍, 반도체 칩 테스트 SW 설계력 주목"
- 산은 새 리더십에…KDB생명 정상화 속도 낼까
- 하나금융 "주주환원율 높여라"…하반기 경영환경 변수
- 돌아온 반도체…외국인 폭풍매수에 코스피도 '훨훨'
- 셀피글로벌 "주총서 가중결의 요건 불충족…해임안 미결의"
- 이화전기 M&A 나선 코아스, '냉각기간'에 발목 잡히나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분양시장 ‘얼죽신’ 트렌드…‘신축’ 차별화된 편의 관심
- 2아리바이오, ‘경두개 음향진동자극’ 인지기능개선 결과 국제학술지 발표
- 3진도군, '운림산림욕장 꽃무릇' 야간 개장
- 4교보생명, 광화문글판 대학생 디자인 공모전 시상
- 5부천시, 서해선·공공주택 추진 속도 낼까
- 6인천시의회 김대영 의원, 수봉공원·보훈시설 개선 요구
- 7이채영 의원, 사회적경제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서..."강력 질타"
- 8인천시교육청, “처벌 넘어 회복” 교육 현장 바꾼다
- 9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제25대 이지열 병원장 취임식 성료
- 10'요리명장' 안유성, 목포서 외식업 성공 비법 전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