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발행 채권 및 CD 390조원…전년 比 7.2%↑
지난해 발행한 채권 및 CD 약 390조…최대 비중은 ‘금융회사채’
등록발행 비중, 특수금융채·일반특수채·지방공사채 등 순으로 비중 차지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지난해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등록 발행된 채권 및 양도성예금증서(CD)가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한 390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4일 한국예탁결제원(이하 예탁결제원)은 지난해 예탁결제원을 통해 발행된 채권과 CD를 집계해 발표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등록 발행된 채권은 전년 대비 5% 증가한 360조2,000억원이고, 양도성예금증서(CD)는 전년 대비 42.2% 증가한 30조7,000억원 규모이다.

최근 5개년 종류별 등록발행 현황 [자료제공=한국예탁결제원]
채권 종류별로는 금융회사채가 112조2,824억원(28.7%)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특수금융채·일반회사채·유동화SPC채·일반특수채·CD·국민주택채·지방채·지방공사채·유사집합투자기구채 등이 뒤를 이었다.
전년 대비 증감률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3.8% 감소한 특수금융채를 제외하고는 모든 종류의 채권 발행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유사집합투자기구채가 전년 대비 87.5% 증가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지방채(38.2%)·일반특수채(21.4%)·일반회사채(18.9%) 등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채권의 모집유형별로는 공모채권이 약 320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8% 증가한 반면, 사모채권은 39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3.2% 감소했다. 등록발행 비중으로는 공모채권이 89%를 차지했고, 사모채권 중 일반사모채권은 10.3%, P-CBO(Primary-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s) 기초자산을 구성하는 사모채권은 0.7%를 차지했다. ‘P-CBO’란, 신규 발행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해서 발행되는 유동화 증권을 말한다. 신용도가 낮아 채권시장에서 회사채를 직접 발행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의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해서 신용보증기금 또는 제3의 금융기관을 통해 신용보강이 이뤄진 P-CBO을 발행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자금지원정책으로 활용된다.
메자닌 증권(주식연계채권)의 발행 현황도 집계 발표됐다. 우선 전환사채가 4조2,793억원 발행돼 전년 대비 43.5% 증가했고, 교환사채는 3,569억원으로 전년 대비 16.8% 증가했다. 다만, 신주인수권부사채는 4,504억원으로 전년 대비 5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오천피 의지 있나"…대주주 새 기준에 증권가 성토
- 경평 하락에 노사 갈등까지...뒤숭숭한 기업銀
- 여신협회장 임기 종료 임박…분주해진 물밑 경쟁
- KB국민카드, '2025 인천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대성황 이뤄
- 롯데카드, ‘굿네이버스 레이스 with 띵크어스’ 참가자 모집
- 교보생명, 광복 80주년 맞아 건물 외벽에 '특별한 태극기' 게시
- 티머니, '산리오캐릭터즈 좋은 날 티머니카드' 출시
- ABL생명, AI 활용한 '고객 맞춤형 보험상품 추천 서비스’ 도입
- 비자 "2026 FIFA 월드컵 경기 티켓 사전 응모 혜택 제공"
- 한켐 "OLED 부문 '발광층 소재' 매출 비중 확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박준희 아이넷방송 회장, 생활환경·산림 감시단으로 위촉
- 2中에 추월당한 韓 제약바이오…정부 R&D 지원 시급
- 3도시정비 수주 경쟁 치열…건설사, 실적 개선 돌파구
- 4출범·매각·통합 잇따라…LCC 시장, 대격변 본격화
- 5상반된 2분기 실적 전망에…희비 엇갈린 '네카오'
- 6K조선, 선박 발주량 감소…'마스가' 로 반등 노리나
- 7"오천피 의지 있나"…대주주 새 기준에 증권가 성토
- 8경평 하락에 노사 갈등까지...뒤숭숭한 기업銀
- 9여신협회장 임기 종료 임박…분주해진 물밑 경쟁
- 10여 "노란봉투법, 8월 임시국회서"…벼랑 끝 내몰린 기업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