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무역합의 서명, 불확실성 줄겠지만 단기 매물 출회 가능성

[서울경제TV=서정덕] 미·중 양국이 현지시간 15일 1단계 무역 합의에 공식 서명하며 글로벌 불확실성이 줄어들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류허 중국 부총리는 백악관에서 서명식을 열고 작년 12월 양국이 합의한 발표 내용을 최종 확인했는데, 중국이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을 대규모 구매하고, 미국은 대중 추가 관세 부과 철회하는 동시에 기존 관세 일부의 관세율을 낮춘 게 이번 합의의 주요 내용이다. 이번 1단계 합의로 불확실성은 단기적으로 제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합의 내용이 기존에 알려진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아 기대감으로 상승한 국내 증시 역시 잠시 숨고르기 과정을 거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5일(현지시각) 뉴욕 증시는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가 전장보다 90.55포인트, 0.31% 상승한 29,030.22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6.14포인트, 0.19% 오른 3289.29에, 나스닥 지수는 7.37포인트, 0.08% 상승한 9258.70에 장을 마감했다.
실제 전일 미 증시는 상승폭을 축소시키는 모습과 함께 차익 매물이 출회되고, 국채금리 하락과 상품시장 역시 약세를 보였으며 역외 위안화 환율이 달러 대비 약세 흐름을 보이기도 했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16일 “미국과 중국의 무역합의 서명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해 왔지만, 관련 내용이 다르지 않았고 이 여파로 미 증시는 차익 매물이 출회되었다”며 “한국 증시에도 차익 매물 출회 가능성을 높인다”고 덧붙였다. 또한 “더불어 미국 정부가 화웨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고, 퀄컴의 5G 칩 가격 인하 등으로 반도체 업종이 차익 매물 출회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1.19% 하락한 점도 한국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 연구원은 “연준이 베이지북을 통해 미국 경제가 완만하게 확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발표한 점은 조정폭을 제한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이러한 변화 요인을 감안하면 한국 증시는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기다리며 차익 매물 소화 과정을 이어가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 전망했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모아라이프플러스 “이스라엘 합작법인 퀸트리젠 투자금 회수”
- 증권가, SK하이닉스 호실적 지속 전망…목표가 줄상향
- 카드社 3분기 성적 희비…선두 굳힌 삼성
- 신한·하나금융, 대출 규제 속 최대 실적…변수는 4분기
- ‘연임 도전설’ 서유석 금투협 회장, 잦은 해외출장 도마
- 신협, 광복 80주년 기념 ‘국가유산 어부바 적금’ 530억 돌파
- 카카오페이, '내 정보 유출 진단' 서비스 출시
- 우리금융, 3분기 누적 순익 2.8조 육박…전년比 5.1%↑
- 신한카드, 통신 데이터 융합 AI 금융사기 방어 체계 구축
- 현대카드, 소비자보호 '소중한주' 캠페인 실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항만공사, 지역복지 협력 사업 추진 공로로 감사패 수상
- 2종근당고촌재단, 제18회 고촌상 시상…인도 결핵 분자진단 기업 수상
- 3경동나비엔, 숙면매트 ‘수면 질 개선 효과’ 입증…SCIE 학술지 게재
- 4코웨이, ‘아이스 빅 페스타’ 성료…GV70 등 경품 전달
- 5모아라이프플러스 “이스라엘 합작법인 퀸트리젠 투자금 회수”
- 6한유원, 주식회사 버즈니와 소상공인의 AI 활용 확산 위해 협력
- 7치매 위험, ‘유전자 점수’로 미리 알 수 있다
- 8"중장년 성공 취업"…쿠팡풀필먼트서비스, 대한상공회의소와 MOU 체결
- 9대한항공, IATA ‘의약품 항공 운송 품질인증’ 재인증
- 10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 美 아버 바이오社 투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