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학협회저널 “에이치엘비 리보세라닙, 폐암에 유망한 치료법”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에이치엘비는 미국의학협회저널에서 발간하는 JAMA Network Open에 발표된 논문에 표준치료가 없는 야생형(wild type)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리보세라닙(중국명 아파티닙)과 비노렐빈(Vinorelbine) 병용치료 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중국의 후난성에 있는 중남대학(Central South University)에서 진행된 리보세라닙과 비노렐빈 병용 연구자 임상 2상 결과, 질병통제율(DCR) 76.7%, 객관적반응율(ORR) 36.7%, 무진행생존기간 중간값(mPFS) 4.5개월, 생존기간 중간값(mOS) 10개월로 주요 지표들이 의미 있는 효과를 보였다.
논문에서는 “경구용 아파티닙과 경구용 비노렐빈 병용치료는 유전자 변이가 없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3차 치료제로서 효과가 뛰어나고, 독성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매우 유망한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항서제약은 최근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 목적으로 리보세라닙과 상피세포 성장인자수용체(EGFR) 타깃인 이레사(Gefitinib) 병용, 리보세라닙과 PD-1 타겟인 캄렐리주맙(Camrelizumab) 병용으로 각각 상업화 임상 3상을 추진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전세계적으로 폐암은 암중에서 발병자수와 사망자수가 1위에 해당하는 암이다. 폐암 사망률이 높은 이유는 초기 증상이 없기 때문이다. 폐암은 비소세포폐암(NSCLC)와 소세포폐암(SCLC)으로 구분되는데, 폐암 환자의 80% 이상이 비소세포폐암이다. 최근에는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되면 유전자 검사를 통해 상피세포 성장인자수용체(EGFR)와 같은 유전자 돌연변이 유무를 통해 치료 방법이 결정된다.
하지만 유전자 변이가 없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세포독성 항암제 치료를 받게 되고, 2차 이상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해서는 표준치료가 없는 상황이다.
에이치엘비 관계자는 “폐암 치료는 EGFR, ALK, ROS1, PD-L1 등 바이오 마커에 따라 치료법이 세분화되고 있는데, 리보세라닙은 여러 타깃 약물과 함께 병용치료의 기본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약물이라는 강점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고 밝혔다.
지난달 에이치엘비는 어드벤첸으로부터 리보세라닙의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권리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최근 항서제약이 중국에서 리보세라닙을 간암 2차 치료제로 시판허가를 신청한데 이어 폐암 임상 3상 등 다양한 적응증 확대가 시도되고 있어 에이치엘비의 로열티 수익 증가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출 규제에 카드론 재미 시들…카드업계 '불황 터널'
- '5조 클럽·최대 이익'… KB·우리금융 함박웃음
- NH농협금융, 3분기 누적 순익 2조2599억원…증권↑은행·보험↓
- KBI그룹, 라온 이어 상상인저축은행 품는다…1107억원에 지분 90% 인수
- KB국민은행, 한국-인도네시아간 QR결제서비스 최초 시연 성공
- 루센트블록, 카카오뱅크와 STO 대중화 위한 MOU 체결
- iM금융그룹, 향후 5년간 생산적금융 총 45조원 공급
- 신한자산운용, ‘SOL 국제금 ETF’ 총 보수 연 0.05%로 인하
- NH선물, 수확철 맞이 농촌일손돕기 실시
- SK하이닉스, 시총 비중 10% 돌파...투자한도 확대 적용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김천시, 7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 결정·공시
- 2영천시·CJ프레시웨이, 우로지 외식업소 로컬브랜딩 메뉴 시연회 개최
- 3영천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제248회 임시회 상임위원회 활동 마무리
- 4포항 전통 한지문화 체험행사 ‘백추지 한지여정’ 철길숲 한터마당서 개최
- 5포항시, ‘뱃머리마을 국화전시회’ 1일 개막…가을빛 힐링 정원으로 초대
- 6포항시, 2030년까지 AI 인재 10만 명 양성… 대한민국 AI 중심도시로 도약
- 7경주시, 제주테크노파크‧경주융합회와 지역 상생협력 간담회 개최
- 8김밥축제로 하나된 김천, 그 어느때보다 아름다웠다
- 9영천교육지원청, 교사관찰제 연수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공정성 강화
- 10영진전문대 동물보건과, ‘제3회 동물보건사 선서식 및 수혼제’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