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포럼제약,이스라엘제약사 전략적 투자… “수퍼항생제 플랫폼 확보”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메디포럼제약이 다중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슈퍼박테리아) 신약 개발을 위한 전략적 투자에 나섰다.
메디포럼제약은 슈퍼박테리아에 획기적으로 효능을 보이는 항생제 신약 후보물질 및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이스라엘의 글로벌 바이오 제약회사인 슈퍼트랜스메디컬(SUPERTRANS MEDICAL LTD)사에 초기 투자금으로 200만 달러를 투자하고,향후 개발진행 상황에 따라서 추가 투자를 단계별로 집행하는 전략적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투자조건에 따라 메디포럼제약은 해당 신약에 대해 25%의 지분을 확보하고, 공동 연구개발과 한국,중국,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전 지역의 독점 제조권 및 판매권을 보장받게 된다. 특히 한국에서는 특허권까지 50% 보장받는 조건이다.
‘슈퍼트랜스 테크놀로지(The SuperTrans technology)’라 명명된 해당 슈퍼박테리아 신약은 미국 스탠포드 의대 화학시스템 생물학 교수이자 슈퍼트랜스메디컬 사의 연구진인 세계적 석학 폴 웬더 교수가 연구 및 개발했다. 이 신약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은 기존 항생제에 특정분자를 부착하는 플랫폼 기술로 슈퍼박테리아를 타깃 치료할 수 있어 효율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루이스 네빌 슈퍼트랜스메디컬 대표는 “이번 투자 및 공동 연구개발 협약체결로 후보약물의 임상1상 진입시기가 12~15개월 이내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되며 오는 2023년 준비중인 슈퍼트랜스메디컬의 홍콩 상장에도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며 “슈퍼트랜스 플랫폼 기술을 토대로 메디포럼제약과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이어가 슈퍼박테리아를 치료하기 위한 항생제 외에도 다양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상용화하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박재형 메디포럼제약 대표는 “인류의 숙원 사업인 다중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의 치료제 개발 프로젝트에 세계적으로 저명한 연구진과 파트너로 참여하게 되어서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메디포럼제약은 단순 투자를 넘어서 기술진 파견 등 전략적 파트너로서 역할을 적극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슈퍼트랜스메디컬 사 연구진은 슈퍼트랜스 테크놀로지에 사용된 플랫폼 기술이 코로나19 치료제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보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코로나19의 폐세포 내 감염 및 확산방지에 일부 효과를 보이는 허가 약물에 슈퍼트렌스 플랫폼 기술을 접목하면 단기간 내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jjss1234567@naver.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보험사 교육세 인상 여부 촉각…"세율·과표구간 조정 필요"
- 5대은행 가계대출 1주만에 2조 증가…신용대출에 1조 몰려
- 美연준 보먼 "연내 3회 금리인하 해야"
- 저축은행, 'PF 5차 펀드' 조성…하반기 부실자산 1조 추가 정리
- 의무보호예수 물량 쏟아진다…'투자주의보'
- 부실 코스닥社 접수 후 부동산 매입부터…첫 행보 '갸우뚱'
- WSJ "트럼프 행정부, 美 패니메이·프레디맥 연내 상장 추진"
- 국제금값, 관세 혼란에 '출렁'…장중 한때 최고치 돌파
- 달러-원, 상승폭 축소…1,387.50원 마감
- 뉴욕증시, 애플 급등에 상승 마감…나스닥 최고치 경신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2차 소비쿠폰 기준 내달 윤곽…상위10% 제외 등 논의
- 2대구 수성구, 방과후 초등돌봄 위한 다함께돌봄센터 위·수탁 협약 체결
- 3수성구육아종합지원센터, ‘발달지연 영유아 조기발견 지원사업’ 추진
- 4보험사 교육세 인상 여부 촉각…"세율·과표구간 조정 필요"
- 5정부, '1%대 성장 전망' 원점 검토…'반도체 관세' 불확실성 커져
- 6대구교통공사, ‘노사문화 우수기업 인증서’ 전수식
- 7영남이공대-오케스트로㈜, 클라우드 전문 인재 양성 위한 산학협력 협약 체결
- 8李정부 경제전략, '성장' 전면에…기업 중심으로 초혁신
- 95대은행 가계대출 1주만에 2조 증가…신용대출에 1조 몰려
- 10메타, AI 음성 스타트업 '웨이브폼스' 인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