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사이언스 자회사 단디바이오 코넥스 상장…24일 거래 개시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넥스트사이언스 자회사 단디바이오사이언스(이하 단디바이오)가 코넥스에 상장된다. 패혈증 및 면역항암제 신약개발을 하고 있는 단디바이오는 한국거래소로부터 코넥스 시장에 신규상장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24일부터 매매거래가 개시된다.
단디바이오는 대한면역학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에 교수로 재직중인 박영민 박사가 설립하여 대표로 재직중인 회사로, 그는 지난 10여년 동안 패혈증 치료제 신약개발에 매진해왔다.
단디바이오는 패혈증 치료제, 수퍼박테리아용 항생제와 항암백신 아주번트(adjuvant)인 면역증강제 등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패혈증은 감염초기에 세균 제거를 위해 항생제의 빠른 처치가 요구된다. 또한 항생제 처치 후 분비되는 내독소가 면역세포에 작용하여 사이토카인 폭풍과 같은 2차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이로 인한 장기부전을 막을 수 없는 한계도 있다. 하지만 현재 전 세계적으로 치료제가 없는 상태다.
단디바이오가 발굴한 신규 후보물질의 패혈증 치료제는 직접적으로 세균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세균파괴시 분비되는 내독소에 결합해 사이토카인 폭풍에 의한 장기부전을 제어할 수 있는 2중 기능을 지닌다.
단디바이오의 또 다른 핵심 파이프라인인 면역항암제는 기존의 항암백신이나 면역증강제의 제한적인 면역유도반응을 크게 개선해 종양내 면역 억제 또는 내성(resistance) 환경을 변화시켜 면역기전이 종양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신규 면역항암제다. 오랜 연구를 통해 독자적으로 개발한 약물전달 플랫폼을 접목함으로써 효능면에서 면역 관문억제제와 병용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넥스트사이언스는 자회사인 단디바이오와 투자회사인 나노젠을 통해 바이오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에이치엘비 자회사 이뮤노믹 테라퓨틱스(이하 이뮤노믹)에 500만달러(약 60억원)투자를 결정한 바 있다.
회사 관계자는 “단디바이오는 넥스트사이언스와 글로벌임상 경험을 가지고 있는 에이치엘비 및 에이치엘비생명과학, 그리고 미국의 이뮤노믹테라퓨틱스와 함께 HBS(HLB Bio eco-System)를 구축해 회사들간 유기적 협력을 통해 성장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ㄴ서 “단디바이오는 넥스트사이언스와 글로벌임상 경험을 가지고 있는 에이치엘비 및 에이치엘비생명과학, 그리고 미국의 이뮤노믹테라퓨틱스와 함께 HBS(HLB Bio eco-System)를 구축해 회사들간 유기적 협력을 통한 큰 성장이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4000피 코앞' 불장에 코스피 거래대금 '4년 만 최대'
- 외국인 투자자, 코스피서 1000조원 돌파…반도체 대형주 집중 매수
- 하나금융, '금융원 최초'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
- 김천 김밥축제 찾은 삼성증권, '주식불장' 소스로 이색 마케팅
- 하나금융, 이사회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전면적 쇄신 이룰 것”
- 金 폭락에 개미 패닉…“지금이 오히려 기회”
- 일본은행, 내주 기준금리 동결 전망…정권과의 조율 필요성 제기
- 다음 주 3분기 GDP 발표… 산업·인구·금융 통계도 공개
- 다음 주 코스닥 상장 기업 청약·수요조사 잇따라… 이노테크·핑크퐁 등 주목
- 예상 밑돈 美 물가… 뉴욕증시 3대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촛불은 꺼지면 안 된다”…여수촛불행동, 사법개혁·여수MBC 이전 반대 외쳐
- 2임미애 의원 “국산밀 재고 창고에 쌓이는데 농식품부는 ‘가루쌀’ 더 챙겨”
- 3경북테크노파크·한국전자파학회, 무선전력전송 기술 학술워크숍 개최 및 MOU 체결
- 4대구대, ‘취업 스테이션’ 홍보 행사 열어
- 5대구교통공사, ‘대구자활 별별순회장터’ 개최
- 6iM뱅크(아이엠뱅크)-LH대구경북지역본부, ‘ESG가치 실현 위한 탄소 중립 활동’ 금융 지원 업무협약 체결
- 7대구지방환경청, 문경 돌리네 습지보호지역 친환경 경작물 가을걷이 행사
- 8대경경자청, '2025 DGFEZ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투자 네트워킹 DAY' 개최
- 9임미애 의원 “농산물 유통개혁의 키 품목농협, 설립조차 어려워”
- 10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