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스마트팜·스마트공장 보급 확대…펀드조성까지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7월 15일 경기도 평택 소재의 스마트팜 우수업체인 팜에이트를 방문해 스마트팜 기업, 벤처캐피탈(VC) 등 관련 업계와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박영선 장관은 간담회 참석자들과 함께 포스트 코로나 시기에 디지털 경제의 숨은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스마트팜 벤처·스타트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방향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는 스마트팜 기업인 그린랩스, 엔씽 등이 참석했으며, IMM인베스트먼트 등 농업분야 투자를 하고 있는 VC 등도 참석했다.
이외에도 스마트팜과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 최근 테스트베드를 구축한 스마트공장 보급업체 진코퍼레이션, 신선식품 온라인 유통업체인 오아시스마켓도 함께 참석해 스마트팜 자동화 설비 구축과 비대면 유통망 확보 등을 논의했다.
특히 오아시스 마켓은 2018년부터 팜에이트 상품을 유통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월 거래액이 최초 거래보다 5배 이상 증가했다.
박영선 장관은 먼저 스마트공장 첨단설비가 구축된 샐러드 채소 가공·제조 공장과 정보통신기술(ICT)로 농산물 생육환경을 자동 조절하는 첨단식물 공장을 둘러본 뒤, 이후 개최된 간담회에서 스마트팜 업계 관계자들의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VC업계의 적극적인 투자 유치가 필요하다고 언급하면서, 중기부에 예비 유니콘 선정·지원, 스마트공장 지원 확대와 해외 수출 활성화 지원 등을 요청했다.
함께 참석한 한국벤처투자(KVIC) 이영민 대표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김순철 사무총장은 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 의사를 밝혔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이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유력한 산업이 농업이라 생각한다”고 하면서 “스마트팜의 고도화를 위해선 투자 확대, 자동화 설비 구축, 비대면 판로개척 등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VC, 유통업체, 스마트공장 보급업체 등의 연결의 힘이 발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스마트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확대, 투자 유치를 위한 스마트 대한민국 펀드 조성 등 중기부도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blu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메가팩토리약국, 여름철 취약계층 건강 지원
- 다리 붓기 케어 브랜드 ‘레그랩’, 정제형 신제품 ‘라인포뮬러’ 출시
- 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