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서울 아파트 전셋값 ‘쑥’ vs 매매는 상승 둔화
서울 아파트 전셋값 최대폭 상승 기록
서울 아파트값 꾸준히 올라…상승폭은 절반 ‘뚝’
[앵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폭등했다며 일부에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마침 오늘(1일) 감정원에서 8월 지표를 내놓으며 이 같은 목소리에 힘을 실어줬는데요. 하지만 신고일이 30일인 점을 감안하면 지금의 시장분위기가 아니라 7월인 한달전 분위기입니다. 설석용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31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8월 전국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월 대비 0.68% 올랐습니다.
2015년 12월(0.7%) 이후 4년 8개월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한 겁니다.
이를 두고 일부에선 현재의 전셋값 분위기가 ‘강세’를 보인다거나 ‘폭등’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거래신고시한이 30일인 점을 감안할 때, 오늘 나온 8월 지표는 6월 14일~7월 10일 거래된 매물에 대한 수치입니다.
이런 가운데 서울 아파트 매맷값은 0.55%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7월 1.12%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상승폭은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습니다.
이미 6,7월 계약할때 매매값 상승폭이 크게 감소한 것입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전세값 상승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싱크] 송승현 / 도시와경제 대표
“전세 품귀현상이 일어날 수밖에 없죠. 공공임대가 증가한다고 해도 지금 당장 임대 시장에 물량이 있어야 하는 거잖아요. 근데 임대사업자들의 규제속에서는 추가적으로 공급하기는 굉장히 어렵겠죠.”
업계에선 전세 품귀현상으로 인한 전셋값 상승세가 올 연말까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설석용입니다. /joaquin@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영]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비용 폭탄’ 우려…LIG넥스원, 단기 실적 먹구름
- 광장시장, 인기 브랜드 몰리는데…'얌체 상혼'이 발목 잡나
- 신세계 정용진, 트럼프 장남 또 회동…이번엔 스페인
- HD현대 15조·한화 11조…美 이어 국내 대규모 투자
- LG엔솔,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2027년 양산
- 삼성 450조·SK 128조 ‘통큰 투자’…정부는 ‘규제 완화’
- 현대차그룹, 5년간 125兆 투자…‘AI·로봇’ 집중
- 고려대 의대 백신혁신센터, 감염병 대응·백신주권 확보 위한 업무협약 체결
- 동화약품 자회사 메디쎄이, 강현귀 국립암센터 교수 초청 강연 진행
- 타그리소, EGFR 변이 폐암 표적항암제 중 '단독·병용 모두 최고 권고'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안산시, 상호문화도시 정책 논의… 시 승격 40주년 포럼 추진
- 2안양시,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주력…계약 중 지역업체 94%
- 3이천시, 지역특화사업 ‘시설재배지 토양관리 교육’ 과정 완료
- 4오산시, 이데미츠코산 제2연구센터 확장 추진
- 5용인특례시의회 '도로건설 행정사무감사 대비 사업 현지 확인'
- 6정장선 평택시장 '일본 마쓰야마시 ' 공식방문
- 7용인특례시, 청소년 유해환경 합동점검
- 8인천시, 수산정수장 가동 중지… 수계전환으로 급수 유지
- 9갓튀긴 후라이드, 신예원 후원금 100만 원 기부
- 10사천시니어클럽, 노인일자리사업 ‘노을휴게소’ 개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