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H&M, 코로나에 폐점 러시…한국도 시작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앵커]
글로벌 톱3 스파(SPA)브랜드로 꼽히는 H&M이 한국 첫 번째 진출 매장인 서울 명동 눈스퀘어점을 폐점키로 했습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심각성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문다애 기자 단독 보돕니다.
[기자]
서울시 중구 명동거리에 위치한 H&M 명동 눈스퀘어점. ZARA, 유니클로와 함께 스파(SPA) 브랜드 ‘톱3’로 꼽히는 글로벌 패션 브랜드 H&M이 지난 2010년 한국에 진출하며 처음으로 연 매장입니다.
총 4층, 2,600㎡ 규모로 국내 매장 중 대형 매장이자, 관광지인 명동에 위치해 국내 고객 뿐만 아니라 해외 관광객도 찾는 ‘효자매장’으로 통했습니다.
그런데 H&M은 이달 30일을 마지막으로 이 매장의 영업을 종료하기로 했습니다.
코로나로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 손님이 끊기며 수익성이 크게 악화 되자, H&M 글로벌 본사가 전 세계 매장을 축소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겁니다.
코로나19 여파로 H&M본사의 지난 2분기 순익(2억270만달러)은 지난해(4억3,350만달러)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어든 상황.
상황이 이러자 H&M은 내년 전 세계 매장 약 5,000개 중 5%인 250개를 순감소 시킨다는 대책을 내놨습니다. 올해 50개 가량의 점포가 준 것과 비교하면 내년에는 5배 많은 점포가 문을 닫게 되는 셈입니다.
글로벌 H&M 본사의 점포 구조조정 방안 발표 이후 한국에서 폐점 점포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특히 ‘한국 첫 진출 매장’이라는 상징성을 가진 명동 눈스퀘어점이 국내 35개 매장 중 처음으로 폐점이 결정된 것은 명동 상권의 몰락 때문입니다.
[브릿지]
국내 최고의 상권을 자랑하던 명동은 코로나 사태로 인해 관광객 발걸음이 뚝 끊기며 ‘유령상권’으로 전락했습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명동 상권의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은 28.5%. 가게의 1/3이 비어있는 셈으로, 올해 2분기 공실률이 0.0%였던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앞으로 H&M은 오프라인 매장 대신 온라인 부문에 투자해 온·오프라인 통합 작업을 실시하고, 기존 오프라인 매장들은 온라인 매장의 배급 센터과 브랜드 체험을 위한 곳으로 사용한다는 방침입니다. 서울경제TV 문다애입니다./문다애기자 dalove@sedaily.com
[영상취재 강민우/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SKT, 고객 잡아라…'스타벅스·파리바게뜨' 릴레이 할인
- 폭염에 장바구니 물가 비상…정부, 배추·과일 등 물가 관리 총력
- 의대생 1년 반 만에 복귀…의사·교수단체 "존중과 지원 필요"
- 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가장 많이 늘어난 구간은 '26억 이상'
- 쿠팡 로켓배송,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성장 이끌어
- 포스코, 사우디 아람코 플랜트에 HIC 강재 첫 납품
- 대우건설, 천호동 532-2 일대 재개발사업 시공사로 선정
- 수도권·지방 격차 확대…전셋값 양극화 심화
- 상반기 LCC 국제선 탑승객, 대형항공사 3년 연속 추월
- LG유플러스, 한전과 맞손…1인가구 돌봄사업 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동물병원 네트워크 '코벳', 반려동물 사료·용품 배송 서비스 'Vet2Home' 시작
- 2SKT, 고객 잡아라…'스타벅스·파리바게뜨' 릴레이 할인
- 3하이원리조트 여자오픈 2025, 방신실 최종 우승
- 4폭염에 장바구니 물가 비상…정부, 배추·과일 등 물가 관리 총력
- 5의대생 1년 반 만에 복귀…의사·교수단체 "존중과 지원 필요"
- 6대표이사부터 바꾸는 코스닥 M&A…자금조달 차질에 '혼선'
- 7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8수성구 파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한국마사회 대구지사, 지역 주민 복지 증진 위한 업무협약
- 9김한종 장성군수, 11개 읍·면 순회 '이장과의 소통 간담회' 진행
- 10장성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스미싱' 경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