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마감시황]중국 성장률 둔화에 코스피 소폭 하락…0.28%↓
코스닥은 소폭 상승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코스피가 뉴욕증시 상승 훈풍에도 중국 3분기 경제 성장률이 시장 전망치를 하회 소식에 소폭 하락 마감했다. 반면 코스닥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18일 전장 대비 0.08% 상승한 3.017.48p에 개장한 코스피는 장 초반 차익실현 매물에 3,000선이 무너졌다. 이후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3,000선을 회복한 뒤 오후 한 때 3,020선까지 회복한 코스피는 상승폭을 줄이며 전 거래일 대비 0.28% 하락한 3,006.68p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350억원, 4,173억원씩 매수한 가운데 기관이 –4,808억원 매도했다.
이날(18일) 코스피 시장에서 411개 종목이 상승했고 429개 종목이 내렸다. 대형주(-0.40%) 대비 중형주(0.08%)와 소형주(0.24%)의 상승폭이 컸다.
업종별로 음식료업(0.41%), 종이목재(0.17%), 운수장비(0.01%), 금융업(0.24%), 보험(0.04%), 증권(0.59%), 은행(0.08%) 등이 오른 가운데 비금속광물(-0.83%), 전기가스업(-0.39%), 통신업(-0.68%), 화학(-0.37%), 의료정밀(-0.07%), 운수창고(-1.91%), 철강금속(-0.79%), 섬유의복(-1.38%), 전기전자(-0.21%), 기계(-1.35%)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삼성전자(0.14%), NAVER(0.76%), 현대차(0.48%), 기아(0.48%) 등이 올랐고, SK하이닉스(-1.32%), LG화학(-1.08%), 삼성바이오로직스(-1.27%), 카카오(-0.41%), 삼성SDI(-0.98%) 등은 하락 마감했다.
같은 날(18일) 코스닥은 전 거래일 대비 0.34% 오르며 993.86p에 장을 마감했다. 개인(1,136)이 매수한 가운데 기관(-79)과 외국인(-744)이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셀트리온헬스케어(-1.45%), 펄어비스(-3.30%), 에이치엘비(-1.21%), 셀트리온제약(-1.29%), SK머티리얼즈(-1.13%) 등이 상승했고, 에코프로비엠(3.67%), 엘앤에프(2.81%), 카카오게임즈(5.33%), 위메이드(4.74%), CJ ENM(3.18%) 등이 상승 마감했다.
한편, 금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5.20원 상승한 1,187.6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smileduck29@sedail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공정위 "가전 무료? 소비자 기만"…웅진·보람·교원·대명 4개 상조 제재
- 증권사 RP 보유량 100조 육박 '역대 최대'…단기 자금 파킹 수요↑
- 코스피 거래대금 전주 대비 20% 감소…세제 개편안 실망감
- 상반기 배당소득 흑자 역대 최대…1년 새 88%↑
- 기재부서 예산기능 떼고 금융위 해체?…경제부처 개편안 13일 발표
- 보험사 교육세 인상 여부 촉각…"세율·과표구간 조정 필요"
- 5대은행 가계대출 1주만에 2조 증가…신용대출에 1조 몰려
- 美연준 보먼 "연내 3회 금리인하 해야"
- 저축은행, 'PF 5차 펀드' 조성…하반기 부실자산 1조 추가 정리
- 의무보호예수 물량 쏟아진다…'투자주의보'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공정위 "가전 무료? 소비자 기만"…웅진·보람·교원·대명 4개 상조 제재
- 2현대차그룹, 상반기 영업익 폭스바겐 제치고 글로벌 '톱2' 올라
- 3사망사고 줄잇는 포스코이앤씨, 신용등급 악화 우려…회사채 거래 '뚝'
- 4증권사 RP 보유량 100조 육박 '역대 최대'…단기 자금 파킹 수요↑
- 5영천시, 2025년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취득과정 교육생 모집
- 6APEC 개최도시 경주, 세계 유일 고분 콘서트 ‘봉황대 뮤직스퀘어’ 8월 밤하늘을 수놓는다
- 7APEC 개최도시 경주, 광복 80주년 맞아 태극기 물결로 물든다
- 8코스피 거래대금 전주 대비 20% 감소…세제 개편안 실망감
- 9경주시, 소상공인 매출 68% 증가..."소비쿠폰 효과 뚜렷”
- 10상반기 배당소득 흑자 역대 최대…1년 새 88%↑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