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美 인플레 진정 기대감에도 코스피 변동성 확대될 듯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지난주 뉴욕증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졌지만, 경기 호황에 따른 것이라는 관측에 일제히 상승 마감에 성공했다. 국내 증시는 최근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욕구 확대 속 변동성 확대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 오미크론 우려보다는 전폐 없는 인플레이션이 경제 호황이라는 분석에 상승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10일)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대비 6.8%, 전달 대비 0.8% 각각 상승했다. 이는 1982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로, 시장 전망치(전년 대비 6.8%, 전월 대비 0.7%)에 대체로 부합했다.
인플레이션 압력은 여전했지만, 해석은 긍정적이었다. 월가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높은 물가 상승률의 원인은 경제 호황”이라며 “엄청난 소비지출과 많은 사람들의 고용, 완화적 통화 정책은 여전하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중고차와 숙박, 항공료 상승폭이 예상치를 하회한 부분은 인플레이션 정점에 다다랐다는 신호라는 분석도 나왔다.
이에 애플(2.80%), 마이크로소프트(2.83%) 등 대형 기술주와 GM(6.02%)와 포드(9.26%) 등 자동차 관련주 등이 강세를 보였다.
증권업계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급등세 진정 기대감에도, 12월 이후 연이은 상승에 대한 단기 차익실현 욕구 확대 속 12월 FOMC 경계심리 등에 영향을 받으면서 변동성 확대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오미크론의 증시 영향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 등 오미크론 사태 이전의 핵심 변수들이 재차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는 모습”이라며 “우선 미국 인플레이션 급등 불안감은 완화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한 연구원은 “관건은 점도표 공개 혹은 파월의장의 코멘트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내년도 금리인상 속도 변화여부에 있으며, 12월 FOMC 결과 이후 출현할 수 있는 변동성 확대를 대비한 위험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도 “최근까지 코스피가 견조한 반등세를 보여온 만큼 단기 차익실현 압력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지만, 여전히 밸류에이션 레벨이 낮고 매크로 여건이 개성 방향에 있어 숨 고르기 이후 추가 반등을 예상해 볼 수 있다”고 전했다.
서 연구원은 이어 외국인 수급에 대해 “그간의 매도세를 감안하면 유입 여력은 아직 충분할 것이며, 특히 최근까지 매수세가 집중됐던 IT 업종과 운수장비, 금융 업종의 경우 수급 빈집 효과가 지속될 전망”이라 덧붙였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투증권 "美 연준, 올해 9월·내년 3회 금리인하 전망"
- 농협은행, 인수금융 본격화…비이자수익 확대 노선
- "원스트라이크 아웃" 주가조작 합동대응단 출범
- 상호금융권, PF 부실에 비과세 축소까지 '이중고'
- 화재보험협회, '2024년 특수건물 화재통계·안전점검 결과 분석' 발간
- 우리銀, 지급보증부 커버드본드 2100억 발행
- SBI저축은행, '사이다뱅크 커피적금' 내달 1일 2차 판매 시작
- 현대카드, 종합자산관리 서비스 '내 자산' 개편
- 신한카드, '갤럭시Z 폴드7·플립7' 구매 고객 대상 이벤트 진행
- NH농협카드, 경기도 가평군서 '수해복구 봉사활동' 실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스타벅스, 순직 소방관 유자녀 장학금 1억원 전달
- 2한국타이어 후원, 월드 랠리 챔피언십 9라운드 ‘핀란드 랠리’ 개최
- 3현대드림투어, B2B 호텔 홀세일 예약 서비스 선봬
- 4렉서스코리아, 제주도 시승프로그램 ‘어메이징 드라이브’ 리뉴얼
- 5한전, 경상북도 등과 2025 APEC 개최 업무협약 체결
- 6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4조6761억원…전년비 55.2%↓
- 7韓협상단, 주미대사관서 한미 무역협상 타결 브리핑 예정
- 8대통령실 "車 관세 25%서 15%로…반도체·의약품 불리하지 않게"
- 9한투증권 "美 연준, 올해 9월·내년 3회 금리인하 전망"
- 10韓美, 무역 협상 타결…"韓 상호관세 25%→15%"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