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증시]물가급등‧우크라 회담 결렬…코스피 털썩

[앵커]
국제유가 급등세가 멈추고 제 20대 대선이 끝나며 불확실성 제거도 더해졌지만, 물가상승과 우크라 사태 우려에 증시는 지지부진 했습니다. 한 주간의 증시흐름 서정덕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 코스피는 2,660선에 마감했습니다. 주요 산유국의 원유 증산 가능성에 국제유가가 이틀 연속 하락하는 등 급등세는 멈췄습니다.
유가 진정에 상승세를 보이던 글로벌 증시는 40년 만의 최대치를 기록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흔들렸습니다. 현지시간 10일 미 노동부는 2월 CPI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7.9% 증가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시장 예상치를 소폭 상회하는 수칩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협상 가능성에 완화 조짐을 보이던 지정학적 리스크는 터키에서의 양국 외무장관 회담이 소득 없이 끝나며 다시 불확실성에 휩싸였습니다.
다만, 국내 증시는 제 20대 대통령으로 윤석열 당선인이 확정되며 증시에 일부 불확실성을 완화시킨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코스피는 1.92% 내린 2,661.28p에 마감했고, 코스닥 역시 1.03% 하락한 891.71p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 주간 수급 동향을 살펴보면 코스피는 기관(-8,625)과 외국인(-27,780)의 매도를 개인(35,223)이 받아냈고, 코스닥은 외국인(-2,283)의 매도를 개인(273)과 기관(2,037)이 받았습니다.
윤석열 후보가 당선될 시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 건설주와 원전 관련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였습니다. 건설주는 민간 건설사들의 주도 하에 주택 공급이 늘어나며 수혜를 얻을 것이라는 기대감과 원전 사업이 다시 활기를 띨 것이라는 기대감이 더해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신정부가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에서 탈피해 내수 부양을 위해 적극 나설 것이라는 기대감에 리오프닝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증권업계는 다음주 러시아의 만기국채 상환 일정에 따른 디폴트 리스크와 3월 FOMC를 둘러싼 긴축 우려가 작용할 수 있는 시기로 단기적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다며 신정부 정책 모멘텀 등을 기대할 수 있는 업종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서울경제TV 서정덕입니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尹파면] 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 [尹파면] 관세 이슈에 증시 발목...원화는 강세 회복
- 5대 금융지주 尹 탄핵 인용·美 상호관세 따른 시장 변동성 긴급점검
- 금융당국 "尹 파면·美 상호관세 영향 시장상황 면밀하게 모니터링"
-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시장 충격 대비 전직원 비상대응체계"
- 尹 탄핵 '인용' 후 원·달러 환율 1430원대로 하락
- 펠드아포테케, '2025 타이베이 뷰티 박람회' 참가
- NH농협은행 205억원 금융사고…대출상담사가 과다대출
- 안도걸 "지난해 대주주 3272명, 1인당 양도차익 29억 신고"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순창 쌍치면 산불 2시간 만에 진화…최영일 군수, 현장 긴급 출동
- 2저작권 논란에도…챗GPT가 불러온 ‘지브리 놀이’
- 3벼랑 끝 홈플러스…기업회생·검찰 수사 속 ‘대책 실종’
- 4“키움서 주식 안한다”…키움증권 연이틀 먹통에 ‘부글부글’
- 5한숨 돌린 줄 알았는데…트럼프 “의약품도 관세 검토 중”
- 6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7대선 국면 돌입…짙어진 부동산 시장 관망세
- 8탄핵에 반색하는 플랫폼...카카오 숨통 트이나
- 9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 10관세 이슈에 증시 발목...원화는 강세 회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