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
15일 완도지역 올해 첫 확인…전남보건환경연구원, 예방수칙 당부

[무안=신홍관 기자] 전남도보건환경연구원은 일본뇌염 매개체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지난 15일 완도지역에서 올들어 처음 확인됨에 따라 야외활동 시 피부 노출 최소화 등 예방수칙을 잘 지킬 것을 당부했다.
지난 4월 부산에서 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 확인돼 전국에 일본뇌염주의보가 발령된 상태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일본뇌염 매개체로,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배수로 등에서 서식하며 주로 야간에 사람과 가금에게서 산란을 위해 왕성하게 활동하며 흡혈한다.
일본뇌염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 구토, 설사 등 증상을 보이고, 어린이의 경우 발작이 나타나기도 한다. 치명률은 20~30%에 이르며 완치되더라도 신경학적, 정신과적 문제가 남는다.
일본뇌염은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며, 야외 활동 시 긴 바지와 긴소매 옷을 입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을 자제해 모기를 유인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전남도보건환경연구원은 매년 일본뇌염 유행예측 조사사업을 통해 일본뇌염주의보 및 경보를 발령하고, 매개모기의 발생 시기와 추세를 파악해 환자 발생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난해 5만 1,475마리를 채집했고, 이 가운데 작은빨간집모기는 2,956마리로 전체의 5.7%를 기록했다.
임현철 감염병조사1과장은 “기후변화에 따른 매개모기의 번식과 성장이 왕성해지고 있으므로 어린이와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은 예방접종을 꼭 하고, 야외활동 시 기피제 사용과 피부 노출 최소화 등 예방수칙을 지킬 것”을 당부했다. /hknew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의회, 생활밀착형 조례안 2건 채택
- 2남원시 전국 옻칠 목공예 대전, 대상에 김의식 작가 '삼단 광한루 진열장'
- 3남원시, 쌀값 하락 안정 지원 17억 7,500만 원 지급
- 4장수군장애인탁구단, 경남 전국 탁구대회서 동메달 2개 획득
- 5'제1회 순창 참두릅 여행' 축제…봄꽃 만개한 양지천서
- 6순창군, 관내 어린이집 미취학 아동 대상 '건강한 치아 만들기' 앞장
- 7오산 저수지 개발…‘힐링’ 내세운 100억
- 8최강록 셰프X여주쌀, “서울역서 '네오'한판!”
- 9이용창 위원장이 말하는 ‘기능교육’의 방향
- 10경기북부, 그린벨트 규제 개선 나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