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내일부터 갚을 수 있는 만큼만 빌려준다

[앵커]
내일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규제 3단계가 도입되고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등에 대한 대출규제는 기존보다 완화됩니다. 7월부터 대출 환경이 확 달라지는 건데요. 금융부 윤다혜 기자와 하나하나 짚어보겠습니다.
[앵커]
윤 기자, 생애 처음으로 집을 사려는 분들에겐 희소식이 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대출 한도 비율이 늘어난다고요.
[기자]
네, 생애 최초 구매자를 대상으로 주택담보대출비율, 즉 LTV 상한선이 소득과 지역에 상관없이 모두 80%로 완화됩니다.
기존 생애 최초 주택구매자는 주택가격 8억~9억 원 이하와 소득 부부합산 1억 원 미만 등의 조건이 있었습니다.
LTV 상한선도 규제 지역에 따라 50~70%의 제한을 받았습니다.
이제는 주택가격과 소득 등의 조건은 사라지고 LTV는 80%로 통일됩니다.
4억 원이었던 대출한도가 6억 원으로 늘어나는 겁니다.
구체적으로 기존에는 생애 최초 주택구매자가 투기과열지역인 서울에서 8억인 아파트를 구매하려면 LTV 50%를 적용받아 대출이 4억까지만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바뀐 제도에서는 LTV 80%를 적용받아 최대 6억 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겁니다.
이 완화된 규정은 관련 법이 개정돼야 하기 때문에 7월 중으로 시행될 예정입니다.
[앵커]
연 소득 이내로 제한됐던 신용대출도 한도가 늘어난다고요.
[기자]
네, 내일부터 신용대출 한도가 늘어납니다.
지금까지는 신용대출 최대한도가 대출자의 연 소득 이내였는데, 내일부로 대출 한도는 연봉의 2배 이상까지 가능합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은 연 소득 200% 안팎, 2억 원 초반까지 대출 한도를 확대했습니다.
5대 시중은행 중 한도를 가장 높게 설정한 곳은 농협은행인데요.
농협은행은 연 소득의 최대 270%, 2억 5,000만 원까지 신용대출을 내준다는 계획입니다.
지난달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4~5%로, 연말 신용대출 금리는 8~9%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앵커]
DSR 얘기로 넘어가 볼게요. 앞으로 어떻게 바뀌는 건가요.
[기자]
네, DSR 규제의 마지막, 3단계가 시행되는건데, 대출이 있는 사람들은 사실상 추가 대출을 받기 더 어려워집니다.
DSR 규제 3단계가 적용되면 총 대출액이 1억 원을 초과하는 차주는 연간 부담하는 원리금 상환액이 연 소득의 40% 이내로 제한되는 겁니다.
올해 상반기 적용됐던 2단계 규제와 비교하면 총 대출액 기준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건데요.
앞서 정권이 교체되면서 시장에서는 DSR 규제도 일부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새 정부는 기존 DSR 규제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DSR 2단계 적용받는 국민들이 38%에 달하는데요. 3단계가 시행되면 적용받는 비율이 더 늘어나고 대출 여력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 전세대출, 중도금대출, 소액 신용대출 등은 DSR 적용에서 제외됩니다.
[앵커]
그렇다면 신용대출과 LTV 한도가 늘어나도 더 강화된 DSR 규제 때문에 대출을 받기 어려운 거 아닙니까.
[기자]
네, 정부는 DSR 규제 안착상황 등을 감안해 생애 최초 주택구입 LTV 완화한다는 방침이었으나, 소비자 입장에서는 대출 받기가 더 어려워졌습니다.
DSR은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 비율을 뜻하는 지표로, 소득이 적은 분들은 대출받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직접 계산을 해보면요. 앞서 생애 최초 주택구매자가 받을 수 있는 주담대는 최대 6억 원인데요.
이 대출금을 4.5% 금리로 30년 만기 대출을 받는다면, 매월 300만 원 넘게 내야 해서 1년 상환 원리금이 3,600만 원입니다.
3,600만 원 정도가 40%에 해당하는 소득은 약 8,800만 원 정도가 됩니다. 연 소득이 8,800만 원 이상 돼야 해당 대출을 최대로 받을 수 있다는 겁니다.
그리고 기존 신용대출도 포함되기 때문에 받을 수 있는 대출규모는 더 줄어들게 됩니다.
즉, LTV 한도를 늘려줘도 연 소득 때문에 대출 한도를 최대로 받을 수 없는 상황인 겁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대출 규제를 풀었다기 보다는 더 조인 것 아니냐는 불만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억대 고액연봉자만 내집마련을 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은행들도 신용대출과 LTV 한도를 풀어도 대출 수요는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또 대출을 최대한 끌어서 받을 수 있다고 해도 하반기에 금리 상승세가 지속 될 것으로 전망돼 대출 수요는 주춤할 것으로 보입니다.
[싱크]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주택 가격이 하락하거나 또는 금리가 과도하게 올라가는 상황에서는 지금의 대출 수요가 감소할 수가 있죠. (DSR 3단계는 결국)본인 소득 내에서 쓰라는 거예요.”
[앵커]
네. 7월부터 바뀌는 대출환경에 대해 짚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yunda@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하나은행·네이버페이·SK브로드밴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해 협력
- 업비트·빗썸,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4분기 전망은 '안갯속'
- 차기 금투협 회장 ‘3파전’…코스피 5000 이끌 적임자는
- 'AI 거품론'에 코스피 3900 붕괴…"검은 금요일"
- 결제 즉시 현장서 리뷰·적립…네이버페이 ‘커넥트’ 출시
- 속도조절에도 불붙은 빚투…반대매매 주의보
- KB국민카드, 제1회 'KB 알레그로 정기연주회' 성료
- BNK부산은행, ‘수영구 사랑의 집 고쳐주기’ 발대식 개최
- 코람코자산운용, 김태원·윤장호 각자 대표체제 출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2부천도시공사, 조직 운영 전반 불안정 지적
- 3경기북부 3대 교통현안 ‘동시 지연’…도민 불편 가중
- 4NEXT K: 전북
- 5양양군 7급 공무원, 환경미화원 '갑질 논란' 일파만파...군은 "깊이 송구"
- 6포항시, 직원 소통·화합 행사 개최…취약지역 환경정비와 안전 배출 홍보도 진행
- 7포항시개발자문위원연합회, 포항에코빌리지 성공 조성 위한 선진지 견학 나서
- 8아태이론물리센터, 아태ai센터 포항유치필요성 논의...공감대 확산 본격화
- 9포항시, ‘2025 해양 모빌리티 안전 엑스포’서 북극항로 특화 전략 선보인다
- 10포항시, 호동근로자종합복지관·건설기능학교 새단장…근로자 복지 인프라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