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美 경제지표 호조에 긴축 우려 확산…국내증시 “개별 업종 주목”

[서울경제TV=성낙윤기자]뉴욕증시가 8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와 고용동향지수(ETI) 발표에 긴축 지속 우려가 확산되며 하락 마감했다. 국내 증시는 모멘텀이 있는 개별 종목과 섹터 위주로 차별화된 장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된다.
6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3.14포인트(-0.55%) 내린 3만1,145.30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16.07포인트(-0.41%) 하락한 3,908.19을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도 85.95포인트(-0.74%) 떨어진 1만1,544.91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6일) 뉴욕증시는 ISM 서비스업 지수 등 경제지표들의 호조로 인한 연준(연방준비제도)의 긴축 가속화 우려에 주목했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8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6.9(예상치 55.3, 전월치 56.7)로 예상치를 상회했는데, 이후 미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5% 급등한 3.3%,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3% 급등한 3.5%대에 진입했다.
컨퍼런스보드에서 발표한 8월 고용동향지수는 전월 118.2에서 119.06으로 상승했다. 이러한 개선은 고용시장이 여전히 강력한 속도로 일자리를 추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긍정적인 경제지표들의 발표에 연준이 강력한 긴축 정책을 지속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증권업계는 8월 미 CPI, 9월 FOMC 등 중순 이후 대형 이벤트를 둘러싼 경계심리가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증시에선 특정 기업 또는 섹터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최근 증시 거래대금이 전년대비 거의 반토막 난 수준에서 외국인의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수급 플레이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오늘도 이 같은 움직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에 모멘텀이 있는 개별기업 또는 섹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도 “외국인 수급 환경은 금주 남은 2 거래일동안 보수적으로 바뀔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며 “따라서 오늘도 대형주를 중심으로한 지수 움직임은 취약할 것으로 보이고, 고환율 수혜주·에너지 위기 수혜주 등 특정 업종과 테마주를 중심으로 차별화된 장세를 연출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내다봤다./nyseo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동양·ABL 품은 우리금융, 분기 1조 클럽 기대
- BNK 회장 선임 '깜깜이'…경고장 날린 금감원
- 불장에 빚투도 역대급…4년만에 24조원 돌파
- 영우디에스피, 'SEDEX 2025' 참가…반도체 관련 솔루션 공개
- 미래에셋운용, ‘TIGER 미국S&P500 ETF’ 개인 누적 순매수 5조원 돌파
- 티로보틱스, 'SEDEX 2025' 참가…유리기판 진공 이송 로봇 공개
- 케이지에이, 코윈테크·탑머티리얼과 합동 IR 진행
- 9월 자동차보험 손해율 93.1…전년比 7.3%↑
- 신한투자증권, ‘처음ISA’ 서비스 가입고객 5000명 돌파
- 하나카드, ESG 일환 '하나로 연결된 아이들의 마음' 사업 실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출렁다리 254개 시대...지역관광, 다리만 놓고 끝났나
- 2이천쌀문화축제, “쌀로 잇는 즐거움”...22일 개막
- 3해리농협 천일염가공사업소, 코스트코 매장 입점 기념식 개최
- 4김병전 부천시의회 의장, 지역 미식 산업 활성화 캠페인 참여
- 5인천관광공사, 경찰·기업과 함께 치안산업 혁신 기술 선보여
- 6삼성전자 ‘XR 헤드셋’ 베일 벗었다…“멀티모달 AI로 혁신”
- 7‘시흥 교량 붕괴’ SK에코플랜트·계룡건설 영업정지 6개월
- 8동양·ABL 품은 우리금융, 분기 1조 클럽 기대
- 9HD현대·한화오션, APEC서 K조선 알린다…수주 총력
- 10현대차, 印 상장 1년…현지 경쟁 ‘격화’에 전략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