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행복진흥원, ‘2022 통계로보는 대구여성의 삶’ 발간
보육, 교육, 사회참여 등 7개 영역 중심 대구 여성 삶 조명
지역 남성 육아휴직 25%↑...일가정 균형 인식, 지속 변화
가족친화인증 기업관도 지난해 155개로 전년比 45개소↑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대구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이하 행복진흥원원장 정순천) 여성가족본부는 대구여성의 삶을 영역별로 정리해 양성평등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2022 통계로 보는 대구여성의 삶’을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2015년부터 발간된 ‘통계로 보는 대구여성의 삶’은 인구 및 가구, 가족, 보육 및 교육, 사회참여, 건강 및 복지, 안전 및 환경, 문화 등 7개 영역을 중심으로 7대 특·광역시 비교를 통해 대구여성의 삶의 현황과 특색을 살펴보고 있다.
2016년 ‘워킹맘 나다움氏의 대구살이’, 2017년 ‘2030 대구청년여성, 나다움氏의 일과 삶’, 2018년 ‘50대 중년 여성, 나다움氏의 대구살이’, 2019년 ‘여성안전점검, 나다움氏의 안심 in 대구살이’, 2020년 ‘코로나19와 나다움氏의 대구살이’, 2021년 ‘나다움氏의 the 건강한 대구살이’ 등 시대 트렌드에 맞는 주제를 해마다 선정해 대구 여성의 삶을 시각화해 보여주고 있다.
올해는 ‘일·가정 균형’을 주제로, 일·가정생활 인식 및 모부성 보호제도 사용 현황 등을 시각화해 제공했다.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를 묻는 질문에 ‘둘 다 비슷’하다는 응답이 2021년 기준 여성은 56.4%인데 반해, 남성은 39.8%로 일·가정 균형에 대한 인식에 여전히 성별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 일·가정 균형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고 있다.
모부성 보호제도 사용과 관련하여 육아휴직은 여전히 여성의 비중이 남성에 비해 6배 정도 높기는 하나, 2021년 남성 육아휴직이 전년 대비 25% 증가함에 따라 일·가정균형에 대한 인식은 지속적으로 변화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대구지역의 가족친화인증 기업(관)은 지난해 155개로 전년 대비 45개소 증가하여 지역사회 전반에 일·생활균형을 위한 조직문화 및 근로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구행복진흥원 정순천 원장은 “앞으로도 변화하는 대구여성의 삶을 시민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이같은 연구와 현장경험을 접목, 지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더욱더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경주시, 추석 연휴 70만 명 발길…황리단길·불국사 ‘인산인해
- 영천시, 2025년 지역축제 공동 추진 사전보고회 개최
- 포항시민과 함께한 제56차 경북지구JC 회원대회 송도해수욕장서 성료
- 포항문화재단, K-헤리티지 아트전 ‘이음의 변주’…어린이 체험 참가자 모집
- 수성구, 2025 공공녹색제품 구매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 수성구, ‘2025년 하반기 코로나19 예방접종’ 본격 실시
- 이숙자 남원시의원, 장애인 자립 현장 찾아 상생의 복지 실천
- 차규근 의원 "올해 서울지역 갭투자 3040세대 78%차지, 자금조달 차입금은 약 4조 3천억 원"
- 차규근 의원 "올해 서울지역 3040세대 갭투자 자기자금 없이 차입금만으로 주택구매 67건"
- 차규근 의원 "상위 5대기업 실효세율 19.1%…불황 따른 일시적 상승, 세부담은 여전히 낮아"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주시, 추석 연휴 70만 명 발길…황리단길·불국사 ‘인산인해
- 2영천시, 2025년 지역축제 공동 추진 사전보고회 개최
- 3포항시민과 함께한 제56차 경북지구JC 회원대회 송도해수욕장서 성료
- 4포항문화재단, K-헤리티지 아트전 ‘이음의 변주’…어린이 체험 참가자 모집
- 5수성구, 2025 공공녹색제품 구매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 6수성구, ‘2025년 하반기 코로나19 예방접종’ 본격 실시
- 7구윤철 부총리, 美 재무장관 회담…통화스와프 '촉각'
- 8이숙자 남원시의원, 장애인 자립 현장 찾아 상생의 복지 실천
- 9李정부 첫국감 내일 개막…내란청산 등 여야 충돌 예고
- 10해외 IB "올해 대만 경제 5%대 고성장…한국은 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