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크레디트 스위스 충격에 하락…S&P 0.70%↓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뉴욕증시 3대 지수가 스위스 투자은행 크레디트 스위스(CS) 문제가 부각되며 약세를 보였다.
15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80.83포인트(-0.87%) 하락한 3만1,874.57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27.36포인트(-0.70) 떨어진 3,891.93을 기록했고, 나스닥 지수는 5.9포인트(0.05%) 상승하며 1만1,434.05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15일) SVB(실리콘벨리은행)에 이어 CS의 문제가 불거지며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개장 초 증시는 급락했다. SVB에 대한 충격이 미국 당국의 대책 발표로 잦아드는 가 싶었지만, 밤 사이 전해진 스위스 대형 투자은행의 위기설에 또 다시 투심이 악화된 것이다.
CS는 전날(현지시간 14일) 연례 보고서를 통해 작년 회계부문에 대한 내부통제에서 '중대한 약점'을 발견했고, 고객 자금 유출을 아직 막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에 불안감이 확산된 상황 속, 최대 주주인 사우디 국립은행이 추가 재정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불안감이 확산됐다.
CS의 주가가 장중 30% 폭락했고, JP모건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그룹, 웰스파고 등 미국 은행주들 역시 큰 폭의 하락을 보였다.
대다수 유럽 주요국의 증시 역시 3% 이상 폭락하며 CS 충격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다만, 스위스 중앙은행은 이날 유럽장 마감 후 필요시 CS에 추가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다며 불안 심리 차단에 적극 나섰다.
개장 전 발표된 미국의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의 PPI는 전년 동월 대비 4.6% 상승했다. 이는 직전월인 1월 5.7% 보다 낮앙진 수치로 전월 대비 0.1% 하락이다. 시장 예상치 0.3% 상승을 밑도는 수준으로 인플레이션이 조금씩 둔화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소매판매도 감소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소매판매도 0.4% 감소하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는데, 미국 소비 위축 우려가 함께 제기된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둔화되며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 우려가 줄어즐고 있지만, SVB에 이어 CS 사태까지 펼쳐지며 금융시스템 리스크와 경기침체 우려가 함께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이달 연준의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 참가자들은 이달 금리를 동결할 확률을 44.6%로 봤는데 이는 전일(30.6%)보다 높아진 수치다.
국제유가도 경기침체 우려에 급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의 4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5.2%(3.72달러) 떨어진 67.61달러에 거래를 마쳐 2021년 12월3일 이후 최저가를 기록했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산은 새 리더십에…KDB생명 정상화 속도 낼까
- 하나금융 "주주환원율 높여라"…하반기 경영환경 변수
- 돌아온 반도체…외국인 폭풍매수에 코스피도 '훨훨'
- 셀피글로벌 "주총서 가중결의 요건 불충족…해임안 미결의"
- 이화전기 M&A 나선 코아스, '냉각기간'에 발목 잡히나
- 대성파인텍 "9.81파크 제주, 개장 이후 최대 월간 판매액 달성"
- 영림원소프트랩, 전력거래소 'ERP 시스템' 구축 사업 수주
- BNK금융·한국해양진흥공사, 동남권 해양산업 육성 업무협약 체결
- KB금융그룹, 데이터 활용해 수원시 소상공인 금융지원
- BNK부산銀·주택도시보증공사, 상생결제시스템 구축 나선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민화 속 따뜻한 나눔…김종숙 작가, 가덕마을 전시관 초대전 개최
- 2“영천 농식품, 세계로”. . .영천시, 농식품 수출 활성화 간담회 개최
- 3의왕시, 출퇴근 전용 프리미엄버스 운행 시작
- 4국민건강보험공단, 소비자단체 대표자 간담회 개최
- 5강원경찰청, 강폴 알람 올해 들어 첫 발령.... 아동 약취·유인 예방, 안전수칙 전파
- 6'그곶에 가고싶다’… 포항시, 맛으로 보는 호미곶 경관푸드 페스타 개최
- 7포항 영일만친구 야시장, 한 달간 10만 명 다녀가 구도심 ‘활기'
- 8포항시, ‘2025 경북 국제 AI·메타버스 영상제(GAMFF)’ 오는 13일 개막
- 9포항시, 첨단 바이오산업 중심지로…2025 경북바이오산업 엑스포 성황리 개막
- 10영천청년축제 ‘재충전 페스타’, 13일 강변 별빛청년 동상 앞에서 열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