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기업 '골라서' 유치…반도체와 2차전지 등 8대 전략산업 중심
전국
입력 2023-05-23 06:49:53
수정 2023-05-23 06:49:53
정기웅 기자
0개

[천안=정기웅기자] 기업 유치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태도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지역 발전과 상관이 크지 않은 업체까지 유치해 온 데서 탈피해 반도체나 2차전지 등 성장성이 큰 업종 중심으로 '골라서' 유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치에 대한 자신감에 주민 반발을 고려한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정기웅 기자가 천안시를 소개해드립니다.
[리포트]
지난해 11월 본격 가동한 천안의 한 반도체 웨이퍼 부품 제조 기업입니다.
타 지역 농공단지에서 30년 동안 비좁게 있다가 터와 건물 면적 모두 2.5배가 넓은 곳으로 이전하면서 효율이 높아졌습니다.
일찍 가동할 수 있게 된 것은 5년 내 매출 두 배 신장 등 성장성을 사 천안시가 선별 유치했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기존 산업단지에 임대 입주해 터 매입 등에 들어가는 인허가 절차와 비용이 크게 줄어 기업은 일에만 전념할 수 있게 돼 반깁니다.
[김재하 메르센코리아(주)대표이사 "인프라가 너무 잘 돼 있고 (천안)시에서 주는 혜택이 다른 시 못지 않게 좋았습니다."]
이 기업처럼 천안에서 뿌리를 내리려면 유망 업종이냐와 고용 능력은 기본입니다.
천안시는 지난해부터 반도체와 2차전지 그리고 디스플레이와 자동차, 여기에다 의료기기와 나노소재 등 8대 전략산업 중심으로 기업유치 방법을 바꿨습니다.
지난해 유치 기업 283개 가운데 50%가 이 업종입니다. 올해는 70%로 더 높아집니다.
미국 IRA법으로 중국 대신 한국의 입지 선호도가 커진데다 수도권과의 접근성으로 커진 천안시의 기업 유치 자신감에 따른 것입니다.
[유명열 천안시 기업유치팀장 "첨단산업 기업이 대부분 우량기업이고 고용창출이 큰 기업이기 때문에 이런 기업 위주로 유치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죠"]
기존 14개 산업단지 1,000개 기업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새로 14개 단지를 추가 조성하고 있는 천안시.우량업종 기업만을 골라 유치하는 시 전략이 높아진 지역 위상으로 연결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정기웅입니다. /jwoong28@naver.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경북테크노파크, 경북 성장사다리 기업 글로벌 진출 지원
- 류제동 고흥군의장 "지역소멸 문제, 예산 효율적 사용이 해법" [인터뷰]
- 계명대 동산의료원, 비수도권 병원 최초 ‘스마트 병원’ 국제적 인증 획득
- 부산 수영중 통학로 막던 전봇대 드디어 이전된다
- 경북대치과병원 보건의료인 하용우 씨, 대구광역시장상 수상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12회 한·일 공동 가속기 여름학교 개최
- 포항강소특구, 대·중견기업과 개방형혁신 교류회 개최…스타트업 협력 확대
- 포항시의회, 경북 남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월례회 개최
- 영천시-한국수자원공사 포항권지사, 댐주변지역 발전 위해 ‘맞손’
- "덕분에 감사합니다" 남원시, 시민 칭찬 친절공무원 직접 격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트리셀, 올영세일서 ‘달빛천사’ 컬래버 스페셜 에디션 론칭
- 2경북테크노파크, 경북 성장사다리 기업 글로벌 진출 지원
- 3류제동 고흥군의장 "지역소멸 문제, 예산 효율적 사용이 해법"
- 4계명대 동산의료원, 비수도권 병원 최초 ‘스마트 병원’ 국제적 인증 획득
- 5HD현대, 해사 생도 GRC·울산 조선소 방문
- 6롯데웰푸드 몽쉘, ‘2025 에피 어워드 코리아’ 수상
- 7KB국민은행, 올해 하반기 신입·경력 180여명 채용한다
- 8SSG닷컴 "식품 파트너사 300곳, 매출 40% 늘어"
- 9에어서울, 10월 26일부터 인천-괌 노선 주 7회 운항 재개
- 10엘브이엠씨홀딩스, 2분기 영업익 77억원…전년比 67%↑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