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로 버틴 1분기 경제성장…하반기도 "어둡다"

[앵커]
올해 1분기 국내 경제가 직전 분기보다 0.3% 성장했습니다. 거리두기 해제 후 민간소비가 늘면서 성장률을 끌어올린 영향이 컸는데요. 그럼에도 올 상반기까지는 부진한 흐름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김미현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은행은 오늘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GDP 성장률이 0.3%로 집계됐다고 발표했습니다.
수출 급감 탓에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에는 역성장(-0.4%)을 기록했는데, 다시 한 분기 만에 반등한 겁니다.
1분기 성장을 이끈 건 민간소비였습니다.
거리두기 해제 이후 음식숙박업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전체 민간소비가 전 분기보다 0.6% 증가했습니다.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의 기여도는 0.3%포인트로 분석됐는데, 그만큼 소비가 성장을 견인했다는 뜻입니다.
반대로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의미하는 순수출은 성장률을 0.2%포인트 끌어 내렸습니다.
최근 연속된 무역수지 적자 상황이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준 겁니다.
한국은행은 올 2분기까지 경제성장률이 부진한 흐름을 보이다가 하반기부터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은 상황.
[싱크]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수출이 생각보다 회복이 지연되고, 최근에는 소비까지 나빠지는 모습이라 그러면 성장을 끌고 갈 힘이 없거든요. 역성장까지는 아니더라도 성장률이 많은 기관들이 예측한 것보다 조금 더 낮아지지 않을까"
한은은 이날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1.4%로 낮췄는데, 중국 경제회복 지연과 같은 시나리오가 등장하면 1.1%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저출산·고령화 등으로 사실상 구조적 저성장에 진입했다는 부정적 평가도 나오면서 앞으로의 성장 전망을 더 어둡게 만들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미현입니다. / kmh23@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주간 MMF 설정액 7.6조 늘었다…최근 한달 증가치보다 많아
- 다음달 한국 MSCI 편입 앞두고 들썩이는 증권 시장…퍈춞입 후보는
- '불황형 소비' 바람…"최저가·중고에만 지갑 연다"
- 코스피 상장사 현금배당 30조…시가배당률 3.05%로 5년래 최고
- 5월 금리 인하론 우세…예대금리 시계는 거꾸로 간다
- 최저가에만 열리는 지갑…상승세 탄 불황형 소비株
- 키움 이어 미래에셋 주문 ‘먹통’…프리마켓 거래 10분간 중단
- 우리銀, 알뜰폰 새이름 우리WON모바일 출시
- 우리금융,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와 함께 다문화가족 지원 나선다
- BNK부산銀·한국 M&A거래소 업무협약…지역기업 성장 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늘 첫 경선토론 여는 국힘…김문수·안철수·양향자·유정복 대결
- 2한덕수 대행 4·19기념사 "위기극복에 국민 통합이 가장 중요"
- 3정치권 "4·19 정신 계승해야"
- 4민화, 시대를 넘나드는 예술 그리고 민화의 삶을 사는 손유영 작가
- 5전북대병원, 비수도권 최초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GMP 인증 획득
- 6김철우 보성군수 "지역 미래 인재 위해 아낌없는 교육지원"
- 7"의약품 기부·희귀질환 지원" 제약업계, 사회공헌활동 강화
- 8말레이 총리 "미얀마 휴전 연장할 듯…아세안, 인도적 지원"
- 9장흥군, 5월 2~5일 정남진 장흥 키조개축제 개최
- 10젤렌스키, 8월 5일께 日 오사카엑스포 방문 검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