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의원,“‘순위조작 의혹’ 조국 영화, 관객수 조작 의심할 수 밖에 없어”
‘그대가 조국’심야시간 상영 577회 중 199회(35%) 전석매진
1000만 관객 범죄도시3조차 심야시간 전석매진 3,471회 중 3차례(0.086%)에 불과
김승수 의원 “관객수 조작 등 의심할 수 밖에 없어, 수사시관 사실관계 명명백백히 밝혀야”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박스오피스 순위 조작 의혹으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다큐멘터리 영화 ‘그대가 조국’이 심야·새벽(24~08시‧상영시간 기준) 시간 199차례나 전석 매진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김승수 국회의원(국민의힘·대구북구을)이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로부터 제출받은 ‘그대가 조국 영화관 상영 내역’자료에 따르면, ‘그대가 조국’은 지난해 5월25일부터 10월1일까지 상영됐으며, 이 기간 심야·새벽 시간 상영된 전체횟수는 577회, 이중 199회(35%)가 전석 매진됐다.
‘그대가 조국’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취임과 검찰 수사, 부인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의 재판 등을 기록했다는 다큐멘터리 영화로, 조국 사태와 관련해 조 전 장관 부부를 지지하는 목소리를 내온 이들이 대거 출연해 검찰과 언론, 법원 판결을 비판한다.
지난해 5월 개봉해 총 관객 수 32만9044명을 기록했다.
‘그대가 조국’의 일반 시간 전체 상영횟수는 1만605회이고 이중 전석 매진 사례는 406회이다. 심야·새벽 시간 전석 매진된 비율(35%)이 일반시간 전석 매진된 비율(4%)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영진위는 영화 관객 수 부풀리기 등 유령상영 근절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2022년 12월부터 심야·새벽 시간대 좌석 판매율이 90% 이상인 영화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영진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6월 22일까지 심야·새벽 시간대 전석 매진된 사례는 109건이었다.
약 6개월간 국내에서 상영된 모든 영화의 사례를 합친 것보다 ‘그대가 조국’의 심야·새벽 시간대 전석 매진 사례가 더 많은 것이다.
또한 최근 1000만 관객을 돌파한 ‘범죄도시3’의 경우, 지난 6일까지 심야·새벽 시간 총 3471회 상영됐으나, 전석 매진은 단 3차례(0.086%)에 불과했다.
이와 관련 김승수 의원은 “최근 천만 관객을 모은 범죄도시3조차 단 3차례 매진됐을 정도로 영화관 좌석 특성상 1~2칸이라도 비는 곳이 발생하기 마련”이라며, “관람객이 범죄도시3의 3%에 불과한 ‘그대가 조국’의 심야시간 상영 35%가 전석 매진이라는 점은 관객수 조작 등을 충분히 의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관객수 조작 등의 부정행위는 영화 생태계를 교란하는 파렴치한 행위로, 수사기관 등 관계기관이 사실관계를 명명백백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원주천댐, 담수 가능한가?....원주시 “환경부 협의 후 추진 검토”
- 하남시, 시각화·콘텐츠 협업으로 K-컬처 도시 도약
- 전남도, 도민과 광복 80년 다큐영화 '독립군' 관람
- 수원시, 시민체감정책 의회와 함께 공동선언 추진
- 안성시, 국정과제와 함께 시정 브리핑 가져
- 인천 영종, 공항 품었지만 삶의 질 제자리
- 김포 사우동, 뉴빌리지 사업 본격화..."노후 주거지 탈바꿈"
- 민화 속 따뜻한 나눔…김종숙 작가, 가덕마을 전시관 초대전 개최
- “영천 농식품, 세계로”. . .영천시, 농식품 수출 활성화 간담회 개최
- 의왕시, 출퇴근 전용 프리미엄버스 운행 시작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500일 기념 3종 이벤트 진행
- 2CJ, 올리브영 매출 성장 기대…목표가↑-대신
- 3샘플창고, '대형 메가샘플'로 자재 선택 새로운 기준 제시
- 4커넥트밸류, AI 기반 모듈형 직무교육 플랫폼 개발 본격화
- 5"휴머노이드 로봇 성장기…아이텍, 반도체 칩 테스트 SW 설계력 주목"
- 6메빅스, 에버랜드 가을 축제 '프르젝션 맵핑 파트너'로 참여
- 7신라면세점, 보이그룹 엔싸인 모델 발탁…MZ세대 공략
- 8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개발 완료…양산 체제 구축
- 9LS일렉트릭,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 10산업부, 전력망 중앙·지방 협의체 첫 회의…"경제 성장 대동맥 구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