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 7월 1일부터 도시가스 소비자 요금 평균 1% 인상
소매공급비용 메가줄(MJ)당 2.3557원→2.5795원 인상(0.2238원 인상)
취사난방 가구 연평균 5,416원(월 451원) 추가 부담
서비스센터수수료 4.6% 인상...검침·점검원 처우개선으로 대민 서비스 향상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대구광역시는 2024년 적정 도시가스 소매공급비용 산정을 위해 지난 4월 외부 전문기관인 계명대학교산학협력단에 연구용역을 의뢰해, 6월에 제출된 최종보고서를 기준으로 ‘대구시 지역경제협의회(물가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인상안을 확정했다.
이번, 요금인상의 주요인은 에너지 복지 실현을 위해 도시가스 공급 소외지역 해소를 위한 투자보수율 0.6% 가산(20억 원), 수요자시설 검침과 안전점검 업무를 담당하는 서비스센터 종사자의 처우개선과 서비스 강화를 위한 서비스센터수수료 인상(10억 원)의 영향이 크다.
그리고 지구온난화로 인한 동절기 기온 상승에 따른 도시가스 수요량 감소가 요금 인상의 근본 원인이다.
이번 소매공급비용 인상으로 취사난방 가구는 연간 평균 5,416원(월 451원), 취사전용 가구는 544원(월 45원)정도 추가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이번 조정으로 대성에너지㈜의 공급권역인 대구, 경산, 고령, 칠곡의 도시가스 평균 소매공급비용은 메가줄(MJ)*당 2.3557원에서 2.5795원으로 종전보다 0.2238원 인상된다.
도매요금에 소매공급비용을 합한 최종 소비자요금은 21.2181원/MJ에서 21.4343원/MJ으로 종전보다 0.2162원/MJ이 오른다. 인상률로는 1%가 된다.
최종 소비자요금은 기본요금과 용도별 사용량 요금으로 이원화돼 있으며 주택용 기본요금인 취사난방용 900원/월, 취사전용 1,490원/격월은 종전과 같이 동결됐다.
용도별 사용량 요금 조정 내역을 보면 취사난방용이 21.8472원/MJ에서 22.0950원/MJ로 종전보다 1.13%, 산업용은 20.7998원/MJ에서 20.9217원/MJ로 0.59% 각각 오르며, 수송용은 22.6580원/MJ에서 23.0920원/MJ로 종전보다 1.92% 오른다.
최운백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도시가스 공급 소외지역 해소를 위한 투자보수율 가산과 서비스센터 종사자 처우개선을 통한 서비스 향상 비용을 반영한 만큼, 에너지 복지 실현과 대시민 서비스 향상이 기대된다”며, “시민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도시가스사의 강도 높은 경영합리화와 함께 수소연료전지발전 등 신규 수요처 발굴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순창 쌍치면 산불 2시간 만에 진화…최영일 군수, 현장 긴급 출동
- 남원시, 춘향제 3차 추진상황 보고회 개최
- 남원시, 옥상 비가림시설 '이행강제금 완화'로 시민 부담 경감
- 영덕군의회, ‘대형산불 피해복구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건의
- 배민우 민주당 청년위원장, '尹파면 촉구' 단식 5일 만에 병원 이송
- iM뱅크(아이엠뱅크), ‘산불 피해 복구 기부 릴레이’ 실시
- 오성기공,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 내 건설장비부품 생산시설 건립
- 영덕군의회, 산불피해 복구 성금 기탁 줄이어
- 김광열 영덕군수, 산불 피해 지원 대책 설명회 가져
- 대구경북병무청, ‘20세 검사 후 입영’ 신청 접수. . .조기 사회 진출 기회 확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순창 쌍치면 산불 2시간 만에 진화…최영일 군수, 현장 긴급 출동
- 2저작권 논란에도…챗GPT가 불러온 ‘지브리 놀이’
- 3벼랑 끝 홈플러스…기업회생·검찰 수사 속 ‘대책 실종’
- 4“키움서 주식 안한다”…키움증권 연이틀 먹통에 ‘부글부글’
- 5한숨 돌린 줄 알았는데…트럼프 “의약품도 관세 검토 중”
- 6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7대선 국면 돌입…짙어진 부동산 시장 관망세
- 8탄핵에 반색하는 플랫폼...카카오 숨통 트이나
- 9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 10관세 이슈에 증시 발목...원화는 강세 회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