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싼 中 후판 공세에…정부, 반덤핑 조사 착수

[앵커]
정부가 어제(6일) 중국산 후판 덤핑 상황에 대한 조사를 개시하기로 했습니다. 이르면 3개월 내로 반덤핑 관세 부과 여부가 결정될 전망인데요. 중국산 저가 후판 공세에 골머리를 앓던 국내 철강사들의 숨통이 트일지 주목됩니다.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무역위원회는 어제 중국산 후판 덤핑 상황에 대한 조사를 개시하기로 했습니다. 덤핑수입으로 국내 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입은 것이 확인되면 덤핑방지관세인 반덤핑 관세가 부과됩니다.
후판을 포함한 중국산 저가 철강 제품들이 국내 시장으로 쏟아져 들어오면서 제품 가격 하락으로 국내 철강사들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업계는 ‘비정상적인 가격의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현대제철은 지난 7월 말 중국산 후판 제품에 대해 반덤핑 과세를 요청했습니다. 포스코 등 국내 철강 기업도 해당 사안을 주시하고 있는 상황.
중국 내 수요 부진으로 인해 남는 제고 물량이 수출되는 ‘공급 과잉’에 더해 미국의 중국산 철강제품 고관세 부과도 악재입니다. 미국이 중국산 철강제품에 25%의 고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향 중국산 철강제품이 다른 시장으로 우회할 수 있어섭니다.
이에 인도와 유럽 등 해외국가들도 관세 확대를 통해 중국산 저가 철강으로부터 시장을 보호하려고 하는 추세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반덤핑 관세 부과 여부와 관세부과율은 이르면 3개월 내 윤곽이 잡힐 것으로 전망됩니다. 산업 피해 우려가 클 경우 예비 판정 단계부터 잠정 반덤핑 관세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한편, 정부는 이번 조사에서 반덤핑 관세 부과 시 조선업계가 입을 피해도 살펴본다는 계획.
중국산 사용량을 늘려 원가 절감을 노리는 조선사들과 후판 가격 ‘정상화’를 노리는 철강사들 간 의견이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 조사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발란, 결국 법정관리…미정산 대금 130억 불투명
- 보험 수수료 공개가 생존 위협?…소비자 “환영”
- 신영證 등 증권사 연대, ‘홈플러스’ 형사고소…MBK는?
- 대우건설 김보현, 재도약 다짐…‘사망자 최다’ 오명 씻을까
- “中企 판로확대 돕는다면서”…‘T커머스 허가’ 하세월
- 코웨이 ‘집중투표제’ 도입 불발…행동주의 펀드 완패
- 공정위 승인 지연에…대명소노, 티웨이 장악 ‘무산’
- 무신사, 지난해 매출 첫 1조 돌파…영업이익 흑자전환
- 야놀자, 지난해 영업이익 492억…전년比 1782%↑
- 두산건설, 작년 영업익 1000억 돌파…"10년만 최대 실적"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발란, 결국 법정관리…미정산 대금 130억 불투명
- 2보험 수수료 공개가 생존 위협?…소비자 “환영”
- 3신영證 등 증권사 연대, ‘홈플러스’ 형사고소…MBK는?
- 4대우건설 김보현, 재도약 다짐…‘사망자 최다’ 오명 씻을까
- 5“中企 판로확대 돕는다면서”…‘T커머스 허가’ 하세월
- 6‘소호 1강 독주’ 4인뱅 인가전…6월 결과 나온다
- 7코웨이 ‘집중투표제’ 도입 불발…행동주의 펀드 완패
- 8‘블랙 먼데이’ 공매도 재개 첫날 코스피 3% 급락
- 9공정위 승인 지연에…대명소노, 티웨이 장악 ‘무산’
- 10무신사, 지난해 매출 첫 1조 돌파…영업이익 흑자전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