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美 대선에 촉각…“쿼터 축소 대비·그린 철강 기술 개발해야”

경제·산업 입력 2024-10-10 16:17:36 수정 2024-10-10 16:17:36 김효진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트럼프·해리스 “보호무역 강화…자국 철강산업 보호”
리쇼어링 정책 대비 ‘현지 생산 공장 설립’ 고려해야
그린철강 시장 확대 기회…“기술 개발 정부 지원 계속돼야”
산업 불확실성 증대…아웃리치 활동 확대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한 스테인리스 냉연 코일 제품. [사진=포스코]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국내 철강업계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미국 대선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공화당과 민주당이 모두 보호무역기조를 강화하는 가운데, 관세와 환경정책에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불황의 터널을 지나고 있는 철강업계지만, 국가 경제에 중요한 기간산업인 만큼 대선 시나리오에 맞는 대응책을 준비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산업연구원이 지난 7일 발간한 <미국 대선 시나리오별 한국 산업 영향과 대응 방안>에 따르면, 트럼프 후보와 해리스 후보는 공통적으로 자국 철강 산업 보호와 강화에 힘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관세 정책과 기후 변화 대응, 산업 규제에 차이점이 있다.


트럼프 공화당 후보는 철강 산업에도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환경 규제 완화를 적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 생산 공장을 자국으로 되돌리는 리쇼어링을 통해 내수 경제 활성화와 고용 증대를 꾀할 가능성이 크다. 국내 철강업계도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 현지 진출을 고려해봐야 할 때라는 제언이다. 일본제철의 경우 9월 포스코홀딩스 주식을 전량 매각하고 US스틸 지분 확보를 위한 실탄을 마련했지만 현재 양당의 반대에 부딪힌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일본제철은 US스틸을 인수해 보호무역 기조에 대응하고, 미국 현지 사업 확장의 발판으로 사용할 계획이었다.


실제로 미국 시장은 새로운 블루 오션이 될 수 있다. 미국은 글로벌 철강 시장에서 두각을 보이는 철강업체가 없고, 주로 남미 게르다오 등에서 철강제품을 수입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포스코를 제외한 국내 철강업계는 일본제철처럼 지금 당장 현지 진출에 나서기엔 업황이 좋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7월 인도와 미국지역에 철강사업 상공정 투자를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상공정은 철강 생산 과정에서 중요한 초기 단계를 말한다. 원료의 전처리, 고로나 전기로를 통해 철광석을 녹여 순수한 철을 추출하는 제선 단계를 말한다.


관세 장벽 강화에도 대비해야 한다. 특히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경제안보 정책인 무역확장법 232조의 계승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 트럼프는 2018년 집권 당시 무역확장법 232조를 내세워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의 보편관세를 부과했다. 현재 한국은 관세 대신 최대 수입량이 제한되는 쿼터 부과국으로 적용받고 있지만 트럼프 집권 시 최대 수입량이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한편 해리스 민주당 후보는 환경 보호와 탈탄소화를 내세워 철강 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불확실한 무역 파트너를 피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와의 무역을 강화하는 프렌드쇼어링을 강화하고, 그린철강 시장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해리스가 당선될 경우 국내 철강업계가 미래 먹거리로 준비 중인 탈탄소 제철 분야를 선점할 필요가 있다. 현재 포스코는 2030년 기술 개발 완료를 목표로 수소환원제철 기술, HyREX를 개발 중이다. 수소환원제철은 화석연료 대신 수소로 철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탄소 배출이 획기적으로 준다는 점에서 그린철강에 속한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도 그린철강 기술을 개발 중이다.


해리스 후보가 당선될 경우 그린철강 기술은 국내 철강업계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지난 8일 한국과 미국, 유럽연합, 영국, 일본 등 24개국 장관이 참여한 글로벌철강포럼(GFSEC)온라인 회의에서는 우리나라 산업부의 그린철강 기술 개발 지원 노력에 대해 각국 장관들의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다. 포럼에서는 “전 세계적인 철강 공급 과잉 상황 때문에 글로벌 철강업계가 탄소 중립을 위한 기술 개발에 재투자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한국의 산업부는 철강 기업에 발맞춰 R&D 지원 등을 잘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국가 차원에서 기업의 그린철강 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면 그린철강 시장 확대 시 산업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선 결과가 불투명한 현재 상황에서는 미국 정부와의 꾸준한 소통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후보의 정책 방향에 따른 부정적인 결과를 예측하면서 쿼터 유지·증가, 한국 원산지 기준 확대 등 여러 카드를 가지고 적극적인 아웃리치 활동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 것이 현재로선 최선의 방법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효진 기자

hyojeans@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