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정유 이어 석화도 ‘불황’…빅 4중 3사 ‘적자’
경제·산업
입력 2024-11-08 19:11:29
수정 2024-11-08 19:11:29
김효진 기자
0개
롯데케미칼, 영업손실 4,136억 원 ‘적자전환’
LG화학 석유화학부문, 영업손실 380억 원
한화솔루션 케미칼, 영업손실 310억 원 기록

국내 정유사 4곳 중 3곳이 3분기 적자를 기록한 가운데 석유화학 업계도 3분기 실적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국내 석유화학 ‘빅 4’ 중 3사가 적자를 봤는데, 4분기 전망도 불투명합니다.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국내 빅4 석유화학기업 중 3곳이 3분기 적자를 냈습니다.
롯데케미칼은 3분기 매출 5조2,002억 원, 영업손실 4,136억 원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LG화학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4조8,130억원, 영업손실 380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습니다.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도 매출 1조1,886억 원, 영업손실 310억원을 기록하며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금호석유화학만 3분기 매출 1조8,279억 원, 영업이익 65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석유화학업계의 불황은 제품과 원료의 가격 차이인 스프레드가 낮아진 탓이란 분석입니다. 중국이 범용 석유화학제품 자급률을 높이면서 중국향 수출이 줄어들었고 전체 시장이 공급 과잉 상태가 된 것.
수요 회복 지연이 제품 가격 하락으로 이어져 마진이 줄어든 겁니다.
코로나19 시기 때만큼 해상운임이 올랐고, 환율 하락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문제는 4분기 전망도 불투명하다는 점입니다. 중국의 신·증설 물량이 가동되며 공급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석유화학제품 원료인 원유 가격이 하락세를 타며 스프레드가 개선될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여기에 중국 경기부양책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경기부양 효과로 석유화학제품 수요가 늘면 제품가격을 낮추지 않아도 돼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소프트뱅크, 美에 AI로봇 산업단지 추진…1470조원 투자"
- 中 부동산 침체에…블랙록, 상하이 빌딩 34% 할인해 매각
- 美 국방 "한국 등과 억제력 구축…中에 전략적 딜레마 조성"
- 美 3월 미시간대 소비심리 3개월째 급락…기대 인플레 5%로 상승
- 크리에이팁, 日 방문객 대상 토스페이 프로모션 전략 강화
- 함께하는사랑밭, 다문화 가정 서울여행…노랑풍선·본도시락 후원
- 국내 항공사들, '최고 인기' 중국·일본 노선 운항 확대
- 주유소 기름값 7주 연속 하락…"다음 주 상승 가능성"
- 원달러, 美 경기우려 위험회피에 상승폭 확대…1470원 턱밑 마감
- 국제금값, 관세발 인플레·경기 우려에 최고치 또 경신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시민 절반가량 "박형준 시장, 시정운영 잘 못해"…부정 평가 46.6%
- 2韓 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3'경북 산불' 사망자 2명 늘어…화마에 26명 목숨 잃어
- 4부산대 의대 "미등록자 내달 5일부터 제적 절차 진행"
- 5"소프트뱅크, 美에 AI로봇 산업단지 추진…1470조원 투자"
- 6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작업
- 7中 부동산 침체에…블랙록, 상하이 빌딩 34% 할인해 매각
- 8美 국방 "한국 등과 억제력 구축…中에 전략적 딜레마 조성"
- 9美 3월 미시간대 소비심리 3개월째 급락…기대 인플레 5%로 상승
- 10가수 최자 개발 복분자주 ‘분자', 출시 반년만에 완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