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라운드스퀘어, 유튜브 시상식서 '베스트 브랜드 경험' 부문 수상
경제·산업
입력 2024-11-28 11:18:34
수정 2024-11-28 11:18:34
이혜연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혜연기자] 삼양라운드스퀘어는 지난 27일 열린 ‘2024 유튜브 웍스 어워즈’ 시상식에서 베스트 브랜드 경험(Best Brand Experience) 부문 수상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올해로 6회를 맞은 유튜브 웍스 어워즈는 유튜브가 주관하고 칸타(Kantar)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운영하는 디지털 영상 광고제다. 전 세계 20여개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는 유튜브 웍스 어워즈는 한 해 동안 가장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유튜브 캠페인을 통해 효과적인 마케팅 성과를 창출한 디지털 광고를 선정하고 발표하고 있다.
삼양라운드스퀘어는 삼양라면 출시 60주년을 기념해 진행한 ‘삼양라면 초고압 세척기’ 캠페인으로 베스트 브랜드 경험 부문을 수상했다. 베스트 브랜드 경험 부문은 전략적으로 온·오프라인 채널을 연계하여 고객의 관심과 참여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낸 캠페인을 선정하는 부문이다.
광고회사 아이디엇과 함께 준비한 해당 캠페인은 국민 멘토 김창옥 교수와 개그맨 정재형이 출연해 누구나 경험하는 일상 속 라면 냄비 설거지를 유쾌하게 풀어내는 형식으로 구성했다. ‘라면 없는 라면 광고’라는 독특한 컨셉트 아래 구성된 에피소드, 삼양라면 초고압 세척기 등이 높은 공감을 받으며 소비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확산을 이끌어냈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 캠페인과 함께 진행한 초고압 세척기 증정 이벤트는 설거지를 미룰 수밖에 없던 다양한 사연을 응모 받으며 SNS, 커뮤니티 등에서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첫 5일 만에 약 5천 건의 사연이 몰렸으며, 이후 입소문이 퍼지며 총 1만 3천 건이 넘는 응모가 모였다. 삼양라운드스퀘어와 아이디엇은 추첨을 통해 750명에게 삼양라면 초고압 세척기를 증정하고 직접 현장 설치까지 지원하며 재차 관련 콘텐츠 생산을 유도하는 등 유튜브 플랫폼의 특성을 적극 활용했다.
삼양라운드스퀘어 관계자는 “유튜브에서 주관하는 시상식에서 삼양라면 60주년을 위해 진행했던 ‘삼양라면 초고압 세척기’ 캠페인이 베스트 브랜드 경험 부문을 수상하게 되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소비자들과 적극 소통하며 공감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혁신적인 마케팅을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hy2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GS칼텍스, 세계 4대 디자인 어워드 중 3개 디자인 어워드 석권
- 신세계면세점, 중기부 주관 ‘K-수출전략품목’ 참여…‘라이프’ 분야 첫 전담
- 셀트리온, 뉴질랜드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 허가
- 세계 식량의 날 맞아 월드쉐어, 아프리카 아동 식량지원 캠페인
- 안동시, '맞춤형 정서 성장' 스마트 지역아동센터 사업 추진
-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 ‘범용 백신’ 개발 본격화.. 호주서 글로벌 임상 신청’
- KT, GSMA ‘책임감 있는 AI 성숙도’ 최고 등급 달성
- 디지털포토 '찍스', 트루포토북APP 업데이트 기념 20% 할인
- 한성자동차, 최상위 고객 초청 골프대회 ‘탑클래스 마스터스 2025’ 성료
-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5, 대회장 곳곳서 모터쇼급 차량 전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제1회 바로병원배 광주시 북구축구협회 축구대회 개최
- 2제33회 흥부제, '제3회 이색추어요리대회'로 남원의 맛을 더하다
- 3심덕섭 고창군수, 주요 사업장 현장점검 "군민이 체감하는 변화와 성장 이룰 것"
- 4GS칼텍스, 세계 4대 디자인 어워드 중 3개 디자인 어워드 석권
- 5신세계면세점, 중기부 주관 ‘K-수출전략품목’ 참여…‘라이프’ 분야 첫 전담
- 6'남원누리시민 스탬프 투어'로 즐기는 가을 축제 여행
- 7고창서점마을, 국내 최초 특화형 책 공간 탄생
- 8미래에셋운용, ‘TIGER KRX금현물 ETF’ 순자산 6000억원 돌파
- 9목포시, 문화·관광 경쟁력 확보 위한 정책포럼 17일 개최
- 10자생한방병원, ‘머신러닝-전자건강기록’ 활용 허리디스크 치료 성과 예측 모델 개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