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샘-LG화학, ‘친환경 가구용 성형자재’ 개발 위해 맞손
경제·산업
입력 2025-02-24 13:33:19
수정 2025-02-24 13:33:19
이수빈 기자
0개
LG화학 친환경 소재 ‘렛제로’ 바이오 ASA 사용
지난 21일 한샘 송파점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에는 한샘 SCM본부 고영남 이사와 LG화학 ABS사업부장 김스티븐 전무를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해 친환경 가구용 성형자재 개발 방안을 논의했다.
주방가구나 붙박이장 도어로 활용되는 가구용 성형자재 시장은 현재 약 5000억 규모로 추산된다. 최근 친환경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가구업계에도 친환경 성형자재 개발에 대한 고객의 요구가 집중되고 있다.
한샘은 이번 MOU를 통해 가구용 성형자재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더욱 높이겠다는 목표다. 한샘은 건축자재 브랜드 엠시스(MSYS)의 'e’clat-에끌라'라는 상품명으로 가구용 성형자재를 판매 중이다.
LG화학의 렛제로 바이오 ASA는 식물성 바이오 원료를 사용해 탄소 배출량을 줄인 고기능성 소재로 글로벌 친환경 소재 인증 ‘ISCC Plus’를 획득했다. LG화학은 변색이 적은 ASA 본연의 특성에 더불어 친환경성까지 추가한 렛제로 바이오 ASA로 관련 시장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샘은 ㈜진영과의 상생 협력을 통해 친환경 E0 등급의 중밀도섬유판(MDF) 표면에 렛제로 ASA 소재의 표면재를 접착해 성형자재를 생산할 계획이다. 진영은 가구 및 인테리어의 표면재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고기능성 플라스틱시트 기업으로, 렛제로 ASA 소재 표면재를 만들게 된다.
친환경 성형자재에는 주방이나 방에서 사용하다 묻을 수 있는 오염물질을 쉽고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퍼 클린 코팅’도 적용해 관리 편의성과 높은 내구성을 구현할 예정이다. 더불어 추가 테스트와 개발을 거쳐 한샘에서 건설사에 납품하는 특판 가구 등에도 친환경 성형자재를 적용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대부분의 가구용 성형자재는 재활용이 어려워 폐기 시 소각하는 경우가 많고, 그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탄소배출량도 늘어나게 된다”며 “친환경 가구용 성형자재 개발을 통해 탄소 배출 저감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샘 SCM본부와 협력업체 진영과의 전략적인 협업을 통해 친환경 성형자재 시장을 공략해 나가며 상생 협력의 모범적인 롤모델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한샘 SCM본부 한샘연구소의 제품 연구·개발력과 유통영업부가 지닌 인테리어 건자재 시장의 폭넓은 영업망을 바탕으로 시장을 개척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주식회사 비하다, 2025 인천 유망중소기업 선정
- 중기중앙회, '소상공인 성장 정책 토론회'…"업종별 맞춤 정책 필요"
- 동아제약, 여드름 완화에 도움주는 ‘애크온 딥 클렌징 폼’ 출시
- 텐텍, 고주파 리프팅 장비 ‘텐써마’ 호주 TGA 승인 획득
- 시지메드텍, 3분기 누적 영업이익 35억…흑자전환
- 우미, 계열사 실적 부풀려 공공택지 ‘1순위 편법’…공정위 제재
- 키오시아, 차세대 메모리카드 ‘EXCERIA G3’ 공개
- 강동경희대병원 신원철 교수, 대한신경과학회 ‘JCN 논문상’ 수상
- 영풍, 3분기 당기순손실 1280억…전분기 대비 적자 ‘5배 이상 확대’
- 씨앤이솔루션, '놀스' 자동차 부문 국내 라이선스 유지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명현관 해남군수 "해남군이 AI와 신재생에너지 선도 대한민국 핵심 축 도약"
- 2IBK기업은행, 'IBK 아트스테이션 2025' 세 번째 전시 개최
- 3주식회사 비하다, 2025 인천 유망중소기업 선정
- 4중기중앙회, '소상공인 성장 정책 토론회'…"업종별 맞춤 정책 필요"
- 5동아제약, 여드름 완화에 도움주는 ‘애크온 딥 클렌징 폼’ 출시
- 6텐텍, 고주파 리프팅 장비 ‘텐써마’ 호주 TGA 승인 획득
- 7고창군, 제23회 고창고인돌마라톤 대회 성료
- 8장흥군,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워크숍 마무리
- 9장수군, '산악레저 캠핑 페스티벌'로 가을 물들이다
- 10시지메드텍, 3분기 누적 영업이익 35억…흑자전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