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뉴스] 대구광역시, 노곡동 침수사고 원인 ‘수문 고장·운영 미흡’…조사단 장·단기 대책 제시
전국
입력 2025-08-08 17:28:10
수정 2025-08-08 17:28:10
김아연 아나운서 기자
0개
대구시는 지난 7월 17일 집중호우로 발생한 노곡동 침수사고의 원인 규명과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 7월 22일부터 자연재해 저감대책, 수자원, 방재시설 운영·설계 전문가 등 5명으로 구성된 민간전문가 조사단을 운영했다.
조사단은 현장 점검, 자료 분석, 시뮬레이션 등을 거쳐 최종 결과를 도출했다.

두 번째 원인은 제진기 작동 지연이다.
수문 고장으로 배수로 기능이 상실된 가운데 상류에서 흘러온 빗물과 잡물이 제진기 입구로 몰리며 정상 작동을 방해했고, 가동 시점이 늦어 쌓인 협잡물로 인해 기능이 저하됐다.
세 번째 원인은 산지에서 내려온 토사와 잡물을 걸러야 하는 침사지 수문 운영이 매뉴얼과 다르게 이뤄진 점이다. 이로 인해 잡물이 직관로 수문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진기로 유입돼 피해를 키웠다.
시설물 유지·관리 부실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직관수문은 2025년 3월 고장이 난 뒤 침수피해 발생 6일 전까지 거의 폐쇄된 상태였고, 게이트펌프 한 곳은 2024년 3월 고장이 발생해 2025년 7월 2일 철거됐다.
여기에 펌프와 수문의 관리 주체가 달라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구조적 한계도 드러났다. 전국 39개 고지배수로 시설 가운데 대구 노곡동과 다사서재만이 기초자치단체와 광역단체가 각각 다른 시설을 나눠 관리하고 있었다.

단기적으로는 방재시설 긴급 점검, 고장 시설 임시 보강, 침사지 수문 폐쇄, 유목 유입 방지시설 보강, 산불 피해지 부유물 유입 방지대책, 펌프장 인력 보강 등을 제시했다.
중기 대책으로는 침사지 우수 흐름체계 개선, 유역분리 기능 강화, 배수시설 관리 일원화 등을 내놨다.
장기 대책으로는 우회 배수시설과 지하저류조 설치, 제진기 가동체계 개선, 전 유역 오·우수 분리화 사업, 펌프장 자동화와 실시간 모니터링, 주민 전파 체계 구축 등을 제안했다.
안승섭 조사단 단장은 “이번 사고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반복되는 경고”라며 “제시된 대책이 정책에 반영돼 대구시 전역이 자연재난으로부터 안전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soulanchor24@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영상뉴스] 안동시, 여름 축제 '쿨트래디션' 개최
- [영상뉴스] 대구 달성군, 제2국가산업단지 예타 통과
- [영상뉴스] 대구시, 제2국가산업단지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 [영상뉴스] 이철우 경북도지사 "허위 기반 수사 강력 반박...공무원 적극행정 흔들림 없어야"
- [영상뉴스] 대구광역시, 대구시 지역 경기 살릴 4번 타자 ‘대구로페이’가 나선다
- [영상뉴스] 안동시, ‘2025 월영야행’ 개최…조선과 현대 넘나드는 한여름 밤 축제
- [영상뉴스] 대구시, 어린이 복합문화시설 ‘와글와글아이세상’ 정식 개관
- [영상뉴스] 대구 달성군, ‘달성어린이숲도서관’ 정식 개관…책과 놀이가 어우러진 어린이 복합문화공간
- [영상뉴스][경상북도] 봉화은어축제 개막. . .본격 휴가철 경북 여름 축제 줄이어
- [영상뉴스] 달성군,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작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경대, ‘배우·뮤지컬·슈퍼모델·태권도’까지…진로 직업체험 캠프 오는 23일 개최
- 2영덕군, 산불 상처 딛고 ‘푸른 숲’ 복구사업 본격 추진
- 3영덕군, 폭염 대응 ‘이동형 무더위쉼터’ 운영
- 4대구행복진흥원, ‘대구 소상공인 맞춤형 출산·양육지원 사업’ 높은 만족도·정책적 효과 거둬
- 5광복 80주년, AI로 그날의 소리를 되살리다
- 6코인원, 코인 팔아 숨통 트나…FIU 제재·현금난 해소
- 7증시 활황에 증권사 실적도 '고공행진'
- 8“신도시 조성에 신뢰회복까지”…LH, 후임 사장 과제 산적
- 9'온서비스 AI' 효과...네이버 2분기도 웃었다
- 10세아베스틸도 안전불감증?…근로손실재해율 ‘최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