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재 윤두서 '세마도', 전남수묵비엔날레서 321년만 첫 공개
전국
입력 2025-08-11 13:08:12
수정 2025-08-11 13:08:12
이종행 기자
0개
현전하는 말 그림 중 제작연도 기록된 가장 오래된 사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작품…학계·미술계 큰 관심
'세마도'는 현전하는 말 그림 중 제작 연대가 기록된 기년작(記年作)이자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다.
왼쪽 상단에 '갑신유월일제'(甲申六月日製)’라고 쓰여 37세(1704)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말 그림의 초기 기량을 가늠할 기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말을 매어두고 나무 밑에서 휴식을 취하는 두 명의 관리와 강에서 말을 목욕시키는 마부를 소재로 한 그림은 현전하는 공재의 말 그림 중 규모가 가장 크다.
오른쪽 상단에는 '공재지기'(恭齋之記)라는 주문인(朱文印)이 찍혀 있으며, 왼쪽 관서 밑에는 '청구자'(靑丘子)와 '효언'(孝彦·윤두서의 자)이 날인돼 있다.
하단부 중앙에 위치한 바위 표현은 조선 중기 절파화풍을 계승했지만 소재와 필치는 중기 화가들이 그린 말 그림과 전혀 다른 중국풍의 세마도 유형이다.
인물은 정밀하고 자세하게 표현됐다. 강가에서 쉬고 있는 관리들, 나무에 매어진 말들, 강에서 마부가 말을 씻는 장면 등 세 그룹으로 따로 떨어진 요소가 한 화면에서 자연스럽게 통합돼 있다. 이른 시기에 시도한 말 그림임에도 불구하고 말의 근골이 잘 표현됐으며, 볼 뼈가 주머니처럼 볼록 뛰어나온 모양은 윤두서 말 그림의 전형적 특징을 보여준다.
'세마도'는 그동안 학계 논문이나 도록에서 일부 이미지로만 소개되며, 보존 상태조차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수묵 회화다. 이번 공재 윤두서의 세마도 공개를 통해 학술계·미술계에서도 큰 관심을 받을 전망이다.
윤재갑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총감독은 "고산 윤선도 해남종가의 역사성과 수묵 예술의 철학적 기반 등과 연결된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수묵비엔날레가 단순한 작품 전시를 넘어 수묵 예술의 철학과 문화적 깊이를 재조명하고 지역민과 예술인, 국내외 관람객이 함께하는 문화 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qwas0904@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기장군, 고리원전 사고 대비 방사능방재 집중훈련 실시
- 인천국제디자인페어, AI와 ‘사람 중심 디자인’ 조명
- ‘게임체인저’ 선언 이후…경기북부 규제완화 속도전
- 영남이공대, 지역연계 신산업 진로체험 프로그램 성과평가회 개최
- 영덕군,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공모 선정
- 영덕군, 2025·26 산불 감시원 발대식 개최
- 영덕군, 영덕도예문화체험장 본격 개장
- 계명문화대, 우즈베키스탄 KOICA 직업훈련원과 직업교육 협력 강화
- 영남대, ‘국내 TOP5’ 연구력 입증…라이덴랭킹 2년 연속 쾌거
- iM뱅크(아이엠뱅크), 2025 을지연습 평가결과 ‘최우수 기관’ 선정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웰핀 ‘더 퓨어 맥스’ 가습기 고객만족도 1위 달성
- 2이즈소프트, 안전벨트 시험항목 KOLAS 인정 추가 획득
- 3문화릴레이티켓,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참여로 가족 중심 문화 확장
- 4안효섭·김민주 참여 '2% 부족할 때' 광고, 1400만뷰 돌파
- 5SPC 파스쿠찌, 크리스마스 시즌 음료 출시
- 6BNK금융 임추위, 최고경영자 1차 후보군 7명 선정
- 7라이트앤조이, ‘고객신뢰도 1위 프리미엄 브랜드’ 대상 수상
- 8신세계면세점, 쓱데이서 외국인 대상 프로모션 진행…매출 21%↑
- 9국회, 원화 스테이블코인 논의 속도…발행 구조에 이견 첨예
- 10"하나의 바다, 하나의 어촌"…2025 세계어촌대회, 9일 인천 송도서 개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