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시의회, 광양-신장수 초고압 송전선로 논란에 대응 나서

전국 입력 2025-10-14 15:14:28 수정 2025-10-14 15:14:28 최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시민·전문가 참여 세미나 통해 공감대 형성 및 대책 논의

남원시의회 초고압 송전선로 대책 특별위원회가 시민과 전문가, 민간단체와 함께 세미나를 열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남원시의회]

[서울경제TV 남원=최영 기자] 전북 남원시의회 초고압 송전선로 대책 특별위원회는 14일 춘향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정부와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을 위한 시민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남원시 관내를 통과하는 광양~신장수 구간 345kV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 계획과 관련해, 시민과 전문가, 민간단체가 함께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지역 차원의 대응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의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및 제10차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에 따라 추진 중인 해당 사업은 남원을 포함한 전북·경남·충청권 12개 시군을 관통하게 된다.

이 사업은 수도권 반도체 산업단지 및 대규모 전력 수요처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국가 계획이지만, 지역에서는 "전력 공급의 희생지로 전락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남원시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는 '송전탑 건설 백지화 운동'이 전개되고 있으며, 환경단체와 시민단체들도 지역 환경 훼손, 전자파 피해, 재산권 침해 등을 지적하며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공익법률센터 농본의 하승수 변호사가 강연자로 나서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의 문제점, 해외 사례, 대체 에너지 분산 정책 등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윤지홍 의원, 민간대책위원회 박형규 공동위원장, 참석 시민들이 자유토론을 통해 송전선로 건설의 영향과 지역사회 대안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윤지홍 특별위원장은 "지난 정부에서 수립된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지역의 의견 수렴 없이 중앙 중심으로만 추진된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는 지산지소(地産地消)의 원칙 아래, 지역에서 생산한 전력을 지역 내에서 소비할 수 있는 분산형 전력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 정책이 완성된 뒤에 주민 의견을 듣는 것이 아니라, 정책 수립 단계부터 주민이 참여하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남원시의회는 향후에도 관련 기관과 협의하며 초고압 송전선로 사업의 지역 영향 최소화 및 대안 마련을 위한 논의를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

/sound140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최영 기자

sound1400@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