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카드사들은 내년 총선이 무섭다

최근 식사자리에서 한 카드사 관계자는 “내년 총선이 무섭다”고 말했다.
표심을 얻기 위해 정부와 여당에서 수수료를 더 깎든, 다른 무엇이든 또 카드사를 건드릴 것이란 걱정이었다.
“설마”라고 말하려다, 올 초 일어난 일들을 떠올리니 그럴 수 있겠단 생각이 들었다.
정부는 막힌 일이 있으면 카드사를 이용했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부담이 커진 자영업자들의 불만이 커지자, 카드사가 받는 가맹점 수수료를 통 크게 깎았다.
자영업자들이 만족하는 대책은 아니지만, 정부는 적어도 화가 난 이들에게 성의는 표할 수 있었다.
이렇게 수수료를 깎아 예상되는 카드사들의 손실은 연 8,000억원 규모다.
수수료 인하는 많이 알려진 일이지만, 정부가 조용히 카드사에 부탁한 일이 또 있다.
정부는 올해부터 유흥·단란주점업의 부가가치세를 카드사가 대납하도록 했다.
유흥업종에서 발생한 카드거래금액에 대해서는 카드사들이 부가가치세 만큼을 가맹점에 입금하지 않고, 챙겨 놓았다가 정부에 세금으로 내는 식이다.
부가가치세는 소비자가 물건을 살 때 가격의 10%를 더 내고, 물건을 판 사업자가 이를 세금으로 내는 간접세다.
유흥업종의 경우 폐업이 많고, 대표자를 바꾸고 영업하는 등 부가가치세를 미납하는 경우가 많았다.
정부가 세금 걷느라 더 노력하느니, 또 한번 유능한 카드사에게 부가가치세 탈루를 막는 중책을 맡긴 셈이다.
‘중책을 맡겼다’는 표현은 손쉽게 민간회사를 이용하는 정부 행태에 삐딱해져서 해본 말이다.
공과금 카드납부 수수료를 없애려 한다는 소문도 들려온다.
총선을 앞두고 또 카드사를 동원하는 정책이나 공약이 나오는지 지켜볼 일이다. /정훈규기자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박땅꾼의 땅땅땅] 왜 토지투자를 할까? 목표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정부 정책을 따라간다
- [이지연의 스마트 스피치] 자발적 IR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사람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1시간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무모한 도전이 될까, 위대한 도전이 될까?
- [대박땅꾼의 땅땅땅] 꼼꼼히 준비해야 하는 지목변경
- [대박땅꾼의 땅땅땅] 기획부동산을 조심하자
- [기고] 국가인재생태계 개혁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3,000만 원짜리 토지 투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캐 방산협력 박람회 개최…캐나다 잠수함 사업 본격 공략
- 2지역아동센터 광주지원단, 2025년 성과공유회 개최
- 3입영의 문턱을 낮춘 현역병 입영제도
- 4한국GM, 내년 직영 서비스센터 전면 종료…협력센터 중심 체제
- 5北, 한미안보협의회 맹비난…"끝까지 대결" 위협
- 6경주새일센터, 여성 중간관리자 대상 AI 역량강화 워크숍 개최
- 7김천시, 깔따구 유충 정밀역학조사반 회의 개최
- 8컨트롤 유니온, ESG 진단 서비스 ‘ESG Insight Plus’ 론칭
- 9영천시, 창작스튜디오 18기 입주작가 찾는다
- 10포항시, 수산업 발전 교류화합대회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