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계획 철회한 금영엔터, 업황부진·과다부채로 IPO 가능할까?

연내 코스닥 상장을 노렸던 금영엔터테인먼트(이하 금영엔터)가 상장 계획을 자진 철회했다. 지난 4월 한국거래소에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한 금영엔터는 기업공개(IPO) 일정을 연기하고, 2020년 코스닥 상장에 재도전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노래방 업황이 부진한 가운데 과도한 부채로 이자비용 내기도 버거워 향후 상장 가능성에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금영엔터 관계자는 20일 “이달 초 상장심사를 철회한 상태이며, 전 최대주주 측을 상대로 한 몇몇 소송을 연말까지 모두 마무리 짓고 재심사를 통해 내년 상반기 코스닥 상장을 재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핵심 사안이었던 영업양수도 관련 소송은 3심까지 모두 승소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2016년 신설된 금영엔터의 모태는 노래방 반주기로 잘 알려진 금영이다.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경영난에 빠진 금영은 2016년 2월 노래반주기 사업 전체와 상호를 김진갑 대표에게 양도했고, 금영은 2018년 사명을 금영엔터테인먼트로 변경해 새 출발에 나섰다.
김 대표는 금영 인수 후 대규모 구조조정과 경영정상화를 통해 회사를 부활시키는 데 성공했다. 영업이익은 2016년 31억원에서 2017년 53억원으로 증가해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순이익 역시 21억원에서 34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실적은 다소 주춤했지만,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2018년 금영엔터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04억2290만원과 52억166만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각각 7.63%, 3.05% 감소했다.
실적이 정상궤도에 오르자 금영엔터는 지난 4월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하고 IPO에 나섰다. 하지만 상장을 내년으로 연기하면서 상장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과다부채에 따른 이자 부담과 노래방 업황 악화로 향후 영업 환경이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지난해 금영엔터의 부채비율은 217%를 기록했다. 2017년 부채비율(274%) 대비 감소했지만, 경쟁업체인 TJ미디어의 2018년 부채비율(28.6%)을 감안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금영엔터의 부채(이자부차입금)는 288억7751만원으로 전년 대비 30억 가량 증가한 257억9325만원을 기록했다. 단기차입금은 131억원에서 89억원으로 줄었지만, 장기차입금과 전환사채, 파생상품 부채에서 94억원이 추가됐다. 단기유동성 확보에는 성공했지만, 과도한 부채로 재무안정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우려감이 높은 상태다.
이에 따라 금영엔터의 이자비용은 2017년 14억3592만원에서 2018년 16억4669만원을 기록해 2억원 가량 증가했다. 결국 과도한 부채에 따른 이자비용이 순이익을 깎아먹고 있는 셈이다.
회사 관계자는 “금영을 인수하면서 부채도 같이 떠안다 보니 이자비용에 대한 부담이 큰 것은 사실”이라면서 “향후 점진적인 원리금 상환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과거 인기를 끌었던 노래방이 폐업하면서 업황이 악화된 점도 향후 금영엔터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지난해 시행된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과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문화 확산되면서 직장 내 노래방 문화가 줄어들고 있는 점도 업황 위축에 한몫하고 있다.
KB금융 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전국 노래방 수는 2011년을 정점으로 내리막을 걷고 있다. 2011년 3만5316개였던 전국 노래방 수는 점점 줄어들어 올해 5월 3만2796개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노래방이 등장한 1991년 이후 가장 적은 766개가 신규 등록했고, 폐업 수는 그 두 배인 1413개로 집계됐다.
회사 측은 “과거에는 업소용 노래방 위주로 사업을 진행해왔지만, 국내 최초 ‘기가지니 금영노래방 서비스’를 통해 가정용 AI 노래방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가정용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가상현실(VR) 관련 콘텐츠 개발을 완료하고, 노래방에 제품 공급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면서 “노래방이라는 공간이 중장년층의 전유물이 아닌 젊은 층에서도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요한기자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4000피 코앞' 불장에 코스피 거래대금 '4년 만 최대'
- 외국인 투자자, 코스피서 1000조원 돌파…반도체 대형주 집중 매수
- 하나금융, '금융원 최초'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
- 김천 김밥축제 찾은 삼성증권, '주식불장' 소스로 이색 마케팅
- 하나금융, 이사회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전면적 쇄신 이룰 것”
- 金 폭락에 개미 패닉…“지금이 오히려 기회”
- 일본은행, 내주 기준금리 동결 전망…정권과의 조율 필요성 제기
- 다음 주 3분기 GDP 발표… 산업·인구·금융 통계도 공개
- 다음 주 코스닥 상장 기업 청약·수요조사 잇따라… 이노테크·핑크퐁 등 주목
- 예상 밑돈 美 물가… 뉴욕증시 3대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임미애 의원 “국산밀 재고 창고에 쌓이는데 농식품부는 ‘가루쌀’ 더 챙겨”
- 2경북테크노파크·한국전자파학회, 무선전력전송 기술 학술워크숍 개최 및 MOU 체결
- 3대구대, ‘취업 스테이션’ 홍보 행사 열어
- 4대구교통공사, ‘대구자활 별별순회장터’ 개최
- 5iM뱅크(아이엠뱅크)-LH대구경북지역본부, ‘ESG가치 실현 위한 탄소 중립 활동’ 금융 지원 업무협약 체결
- 6대구지방환경청, 문경 돌리네 습지보호지역 친환경 경작물 가을걷이 행사
- 7대경경자청, '2025 DGFEZ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투자 네트워킹 DAY' 개최
- 8임미애 의원 “농산물 유통개혁의 키 품목농협, 설립조차 어려워”
- 9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 10국토부, 올해 동계 항공편 운항 일정 확정…국제선 회복세 뚜렷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