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택 등 건물 증여 28%·부부간 증여 45%↑
경제·산업
입력 2019-11-11 08:53:44
수정 2019-11-11 08:53:44
이아라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아라기자] 지난해 주택을 포함한 건물 증여와 부부 사이 증여가 이례적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이 계속 오르는 데다 정부의 잇단 부동산 대책으로 향후 공시가격 인상과 보유세 등 세금 중과가 예상되면서, 절세 차원에서 일찌감치 부동산 증여를 선택한 사례가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작년 세금 납부를 위해 신고된 상속·증여 재산은 1인당 평균 24억2,000만원, 1억9,000만원 수준이었다.
11일 국세통계에 따르면 2018년 증여세 신고 대상 재산과 신고 인원은 각 27조4,114억원, 14만5,139명으로 1년새 17%, 13%씩 늘었다. 1인당 평균 증여 신고액이 1억8,900만원 수준으로, 2017년(1억8,173만원)보다 4% 늘었다. 토지가 신고 건수(5만5,000건)와 금액(8조5,000억원)에서 모두 최대 증여 자산이었지만,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은 주택을 포함한 건물 증여였다. 건수(4만1,681건)와 증여 신고액(8조3,339억원) 증가율이 각 28%, 42%에 이르렀다.
증여·수증인(증여를 받는 사람)의 관계를 보면, 부부 간 증여가 가장 큰 폭으로 불었다. 건수(3,164건)와 신고액(2조6,301억원)이 2017년보다 45%, 42% 급증했다. 부부 사이 증여된 자산의 평균 신고액은 8억3,128만원이었다.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들 “환경오염 더는 못 참아”...영풍 석포제련소에 손배소
- 결혼정보회사 지노블, '프리미엄 매칭 서비스' 선봬
- 대한항공, 2분기 영업익 3990억 원…전년 동기 比 3.5% 감소
- 중기중앙회, 2026년 적용 최저임금 결정에 "깊은 유감"
- 삼성중공업, 에버그린에 친환경 선박 'VR 솔루션' 설치
- 티웨이항공, 청소년 진로 탐색 위한 항공진로체험 교육
- 중기중앙회, 제5회 유통상생대회 개최
- 롯데온, 2025년 유통상생대회서 산자부위원장상 표창
- 홍찬욱 코이로 대표, ‘2025 사회적기업의 날’ 고용부 장관 표창
- '고맙당’ 저당고추장, 아마존 프라임 칠리페이스트 1위 달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