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발행 채권 및 CD 390조원…전년 比 7.2%↑
지난해 발행한 채권 및 CD 약 390조…최대 비중은 ‘금융회사채’
등록발행 비중, 특수금융채·일반특수채·지방공사채 등 순으로 비중 차지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지난해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등록 발행된 채권 및 양도성예금증서(CD)가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한 390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4일 한국예탁결제원(이하 예탁결제원)은 지난해 예탁결제원을 통해 발행된 채권과 CD를 집계해 발표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등록 발행된 채권은 전년 대비 5% 증가한 360조2,000억원이고, 양도성예금증서(CD)는 전년 대비 42.2% 증가한 30조7,000억원 규모이다.

최근 5개년 종류별 등록발행 현황 [자료제공=한국예탁결제원]
채권 종류별로는 금융회사채가 112조2,824억원(28.7%)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특수금융채·일반회사채·유동화SPC채·일반특수채·CD·국민주택채·지방채·지방공사채·유사집합투자기구채 등이 뒤를 이었다.
전년 대비 증감률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3.8% 감소한 특수금융채를 제외하고는 모든 종류의 채권 발행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유사집합투자기구채가 전년 대비 87.5% 증가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지방채(38.2%)·일반특수채(21.4%)·일반회사채(18.9%) 등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채권의 모집유형별로는 공모채권이 약 320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8% 증가한 반면, 사모채권은 39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3.2% 감소했다. 등록발행 비중으로는 공모채권이 89%를 차지했고, 사모채권 중 일반사모채권은 10.3%, P-CBO(Primary-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s) 기초자산을 구성하는 사모채권은 0.7%를 차지했다. ‘P-CBO’란, 신규 발행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해서 발행되는 유동화 증권을 말한다. 신용도가 낮아 채권시장에서 회사채를 직접 발행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의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해서 신용보증기금 또는 제3의 금융기관을 통해 신용보강이 이뤄진 P-CBO을 발행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자금지원정책으로 활용된다.
메자닌 증권(주식연계채권)의 발행 현황도 집계 발표됐다. 우선 전환사채가 4조2,793억원 발행돼 전년 대비 43.5% 증가했고, 교환사채는 3,569억원으로 전년 대비 16.8% 증가했다. 다만, 신주인수권부사채는 4,504억원으로 전년 대비 5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네이버페이, 해외QR결제 '럭키드로우' 이벤트 진행
- IBK투자증권 "LG디스플레이 2분기 실적, 예상치 소폭하회 전망"
- '스테이블코인 기대' NHN KCP, 페이코와 시너지 주목
- 새 정부 기조 따라…우리銀, '포용금융 플랫폼' 키운다
- 한은 기준금리 2.5% 동결…"주택 시장 과열 진정시켜야"
- 배당소득 분리과세 이뤄지나…희비 갈리는 증권株
- '부동산 STO 플랫폼' 루센트블록, 첫 부동산 매각 성사
- BNK부산은행·케이뱅크, 하반기 공동대출 상품 출시 예고
- 포커스에이아이, '크레더 전략적 투자 협약식' 개최
- 상장 앞둔 도우인시스 "공모 자금 대부분 신규 설비 투자에 사용"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국수자원공사, AI 분석기술 활용한 세미나 개최
- 2“기후위기, 예술로 말한다”…신세계면세점, 서울시립미술관과 MOU 체결
- 3롯데바이오로직스, 앱티스와 차세대 ADC 툴박스 공동개발
- 4광주 남구, 인공지능 활용 업무 혁신 가속한다
- 5바디프랜드, 판매방식 다변화… ‘모바일 라이브’ 3년 연속 성장
- 6링키영어, ‘고객감동 우수브랜드 대상’ 교육서비스 부문 1위
- 7가수 레이디제인, 강남차여성병원서 쌍둥이 여아 출산
- 8금호건설, '안성 금호어울림 더프라임' 선착순 분양 중
- 9안 낫는 여드름, 약 대신 ‘이런 치료’ 해볼까?
- 10대우건설 '블랑 써밋 74' 아파트 완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