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 Q&A]서영진 다이노나 대표 “코로나19 치료제 패스트트랙 임상타진...동물임상 안정성 확보"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에스맥이 지분 23.81%를 보유해 최대주주로 있는 다이노나가 면역력을 높여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생존환경을 차단하는 항체 치료제 개발을 추진중이다. 사업 총괄을 맡고 있는 서영진 사장을 통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동향과 향후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Q.백신과 항바이러스 치료제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A. 현재 예방적 접근인 백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문제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변이가 많은 RNA 바이러스라는 점이다.
백신이 개발되기 위한 1~2년의 기간 동안 바이러스는 이미 변이되어 백신의 효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독감바이러스 백신도 주기적으로 새롭게 업그레이드된 백신을 맞아야 효능을 볼 수 있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합성화합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제 개발은 새로운 화합물 발굴 보다 기존의 항바이러스제를 이용한 임상시험을 통해서 신속히 그 효능을 확인할 수 있다. 렘데시비르(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 길리어드), 칼레트라(에이즈 치료제) 등이 대표적인 예로서, 현재 임상 시험을 진행 중에 있다.
Q.코로나19 치료제 개발 동향은 어떠한가?
A.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항체를 이용한 코로나19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의 접근 방법은 크게 2가지 형태로 나뉜다.
우선 코로나19 바이러스 자체를 무력화하는 방법이 있고, 다음으로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으로 촉발된 비정상적 면역반응을 원상 복구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자체보다 우리 몸의 면역 반응에 주목해 치료제 개발을 시도하는 회사들도 있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면역억제제로 승인된 IL-6R 억제 항체를 코로나19 치료제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Q.다이노나의 DNP002 항체 치료제는 어떤 형태의 치료제인가?
A.최근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의 큰 흐름은 바이러스 사멸보다는 바이러스 생존환경을 차단하는 형태로 가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환자나 특히, 감염된 후 자가 치료된 환자의 혈액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항할 수 있는 중화항체(Neutralizing antibody)가 있다. 이미 감염환자 혈액 샘플 확보와 중화항체 발굴을 위해 병원과 글로벌 바이오업체 간의 공동개발이 진행되는 등 전통적인 항체신약 개발 회사의 노력이 각축을 이루고 있다.
다이노나의 DNP002도 같은 맥락이다. DNP002는 골수에 있는 줄기세포에서 형성돼 선천적 면역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호중구(Neutrophil) 백혈구 제거 매커니즘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동물임상을 통해 안전성이 이미 확보된 상태다. 코로나19 치료제로서의 작용 기전은 최근 발표된 중국의 임상논문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Q.DNP002 패스트트랙 임상 가능성은 어떠한가?
A.코로나19 항체 치료제의 패스트트랙 임상시험 여부를 식약처와 이른 시일 내에 협의할 계획이다.
우리는 호중구의 효과적인 제거를 통해 대장암과 고형암을 치료하는 항암 후보물질(DNP002)의 동물실험을 완료했다. 원숭이 대상 독성시험에서 DNP002가 매우 적은 용량으로 호중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의 임상시험을 추진할 계획이다.
인간과 유사성이 제일 큰 원숭이 독성실험까지 완료해 안전성이 확보된 후보물질이기 때문에 임상승인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DNP002의 대장암 및 고형암 대상 임상1상 신청과 더불어 코로나19 환자 대상의 패스트트랙 임상 가능성을 식약처를 통해 타진하려고 한다.
Q.DNP002 항체의 작용 기전은 어디에 근거를 두고 있는가?
A.코로나19는 호중구(Neutrophil)의 급격한 증가와 그로 인한 사이토카인의 과잉반응이 주요 위험 요소라는 것이 지난 13일 중국 임상 연구진의 논문을 통해 밝혀졌다.
미국의사협회 내과학회지(JAMA Intern Med, 2020. 0994) 논문에 따르면 호중구 제거로 코로나19 환자를 치료 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에, DNP002 항암 후보물질이 코로나19 치료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NP002는 암세포와 호중구(Neutrophil)에 발현되는 CEACAM6(카르시노브리오닉 항원)에 대한 인간화 항체다.
Q.호중구(Neutrophil)라는 것은 무엇인가?
A.호중구는 포유류에서 가장 많은 비율(40 - 75%)을 차지하는 백혈구다. 선천 면역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골수에 있는 줄기세포에서 형성되며, 수명은 짧고 이동성은 높다.
Q. 향후 계획은?
A.앞서 밝혔다시피 DNP002는 전임상이 완료됐기 때문에 식약처의 승인만 얻으면 신속하게 임상 시험에 진입할 수 있다.
임상시료의 생산과 양산은 2500kg의 항체의약품 생산 설비를 갖춘 에이프로젠 측과 협력할 계획이다. 한편, DNP002 후보 항체를 이용해 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 내과와 함께 호중구(Neutrophil), 호산구(Eosinophil)를 제거함으로써 중증 천식을 치료하는 공동연구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jjss123456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BI그룹, 라온 이어 상상인저축은행 품는다…1107억원에 지분 90% 인수
- KB국민은행, 한국-인도네시아간 QR결제서비스 최초 시연 성공
- 루센트블록, 카카오뱅크와 STO 대중화 위한 MOU 체결
- iM금융그룹, 향후 5년간 생산적금융 총 45조원 공급
- 신한자산운용, ‘SOL 국제금 ETF’ 총 보수 연 0.05%로 인하
- NH선물, 수확철 맞이 농촌일손돕기 실시
- SK하이닉스, 시총 비중 10% 돌파...투자한도 확대 적용
- 이롭 프리미엄 음식물처리기, 미디어아트 전시 ‘핑크버블’과 협업
- [인사] 코스닥협회
- 삼성생명, 3분기 DC·IRP 원리금보장형·비보장형 수익률 1위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KBI그룹, 라온 이어 상상인저축은행 품는다…1107억원에 지분 90% 인수
- 2메디컬 트레블 코리아, 의료기관 391개 대상 온라인 세미나 성료
- 3매콤달콤 열정 폭발! '2025 순창 코리아 떡볶이 페스타' 개막
- 4장수한우, 미래를 걷다…장수군 비전 워크숍 성료
- 5남원시·전북대 상생모델, 글로컬캠퍼스 현장에 언론인들 모였다
- 6임실군 귀농인 정기범 씨, 전북 귀농귀촌 공모전서 장려상 영예
- 7용인특례시, 호주·두바이서 495억 원 수출 상담 성과
- 8조용익 부천시장, ‘웰엔딩 문화’ 확산 나선다
- 9이민근 안산시장,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마쳐
- 10경기도, 의정부서 ‘5070 일자리박람회’…양주서도 이어간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