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나몰라라”에 금융권 노사 갈등 여전

증권·금융 입력 2017-08-30 17:16:00 수정 2017-08-30 17:16:00 정훈규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금융권 노사가 성과연봉제로 중단된 산별교섭 재개를 위한 노력하고 있지만, 좀처럼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성과연봉제가 폐지됐음에도 노사 관계가 회복되기는커녕 갈등의 골이 다시 깊어질 조짐마저 보이는데요. 전 정부가 한 일로 치부한 탓인지 당국은 나몰라라 하며 중재에 나설 의지가 보이질 않습니다. 정훈규기자입니다. [기자]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 28일 오후 6시 반 경 은행장들과의 만찬이 예정된 은행회관에 방문했습니다. 만찬 전 오후 5시부터 열린 은행연합회 이사회에서는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의 산별교섭 재개 요구 문제가 화두였습니다. 최 위원장은 이에 대한 기자 질문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인터뷰] 최종구 금융위원장 (28일 은행장들과의 만찬 참석 전) (금융권 산별교섭은 어떻게) “전혀” 그러나 성과연봉제가 폐지됐다고 해서 금융권 노사 갈등이 스스로 해결되길 기대하긴 어려운 상황입니다. 은행장들로 구성된 사용자협의회와 금융노조 간 산별교섭은 지난 정부 때 성과연봉제 강행과정에서 완전히 붕괴됐습니다. 당시에는 당국이 나서 노조와의 합의보다 이사회를 통한 성과연봉제 도입을 종용했고, 압박감을 느낀 은행장들이 사용자협의회를 떠났던 겁니다. 금융노조는 새 정부가 성과연봉제를 폐지했고 최근 법원도 노조의 동의 없는 성과연봉제는 무효라는 판결을 내놓은 만큼 즉시 산별교섭을 재개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영구 사용자협의회장과 허권 금노위원장은 어제 오전·오후 두 차례 만나 산별교섭 재개를 시도했지만 입장 차만 확인하고 무산됐습니다. 성과연봉제가 사라졌지만 갈등의 핵심은 여전히 임금체계입니다. 임금체계 개선을 위한 태스크포스 구성을 산별교섭 재개의 선행 조건으로 내건 사용자측은 호봉제 유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노조는 요구할 게 있으면 일단 산별교섭 재개 후 얘기하자며, 4차산업 혁명에 대비한 고용안정 태스크포스 등 노조의 제안을 수용하라고 맞서고 있습니다. 성과연봉제 폐지를 공약한 문재인 대통령도 현재 호봉제는 문제가 있다는 생각을 밝힌 바 있습니다. 갈등이 커지는 것을 방치했다가는 새 정부의 금융권 임금체계 개선 작업도 전 정부의 성과연봉제보다 모양새가 좋으리란 보장은 없습니다. /정훈규기자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