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 위의 지하철' 간선급행버스 역세권 단지 눈길

경제·산업 입력 2019-02-13 08:18:00 수정 2019-02-13 08:18:00 정창신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땅 위의 지하철’로 불리는 BRT(간선급행버스체계)와 접근성 여부에 따라 아파트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BRT는 버스 통행을 일반 차량과 분리해 도시 철도처럼 운영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버스중앙전용차로, 환승시설 등을 설치해 철도의 최대 장점인 정시성과 신속성을 갖췄다. 이렇다 보니 일반 지하철 역세권 못지 않게 BRT 인근 단지를 선호하는 수요자들도 나타나고 있다. 매매시장에선 이같은 효과가 일찍이 입증되는 분위기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세종시 BRT 정류장과 인접한 소담동 3-3생활권 ‘모아미래도 리버시티’(2016년 8월 입주)의 전용면적 84㎡는 지난 1월 분양가(2억4,320만원) 보다 약 2배 가량 오른 4억9,400만원에 거래됐다. BRT가 다니는 청라에서도 시세는 상승했다. 인천시 서구 연희동 ‘호반베르디움 3차’(2011년 10월 입주)의 전용 84㎡는 BRT 정류장 인근 입지가 부각되며 지난 1월 2017년 12월(4억원) 대비 7,750만원 오른 4억7,750만원에 거래됐다. BRT의 영향은 분양시장에서도 나타났다. 현대건설 컨소시엄(현대건설, 태영건설, 한림건설)이 지난해 4월 세종시에서 분양한 ‘세종 마스터힐스’는 BRT 노선을 이용해 세종시 곳곳을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평균 18.14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고, 같은해 10월 삼성물산과 HDC현대산업개발이 부산에서 선보인 ‘동래 래미안 아이파크’의 경우 부산 내성~송정 BRT 이용의 편의성이 높게 평가 받으며 평균 17.26대 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며 전 세대가 1순위에서 마감됐다. 분양시장에선 이러한 BRT 정류장과 인접한 단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삼호와 대림산업은 인천시 계양구에서 효성1구역 재개발 단지인 ‘e편한세상 계양 더프리미어’를 분양 중이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3층, 12개동, 전용면적 39~84㎡ 총 1,646세대 규모로 830세대가 일반 분양된다. 오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정당 계약을 실시한다. 단지는 인천 청라~화곡역~가양역을 오가는 BRT와 인천지하철 1호선 작전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포스코건설은 2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2지구 A-1블록에 ‘남양주 더샵 퍼스트시티’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3층, 10개동, 전용면적 59~84㎡, 총 1,153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3기 신도시로 조성될 왕숙지구와 인접해 있어 이 곳에 추진 중인 S-BRT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관측된다. 신영은 4월 인천시 서구 가정동 일원 루원시티 주상복합 3블록에서 ‘루원 지웰시티’를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전용면적 84㎡, 총 778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인천 지하철 2호선 가정역 인근에 위치한 이 단지는 향후 7호선 루원시티역(가칭)이 개통되면 더블 역세권을 누릴 수 있다. 또 BRT, GRT와 함께 다양한 간선 및 지선 버스 노선과 인접해 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정창신 기자

csjung@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