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벼락사고 사망자 8년간 800여명 …선진국 대비 20배

지난 8년간 네팔에서 벼락사고로 목숨을 잃은 사람 수가 800명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15일 네팔타임스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2011-2012 회계연도(힌두력에 따라 7월께 시작)부터 2018-2019 회계연도까지 8년간 현지에서 벼락사고로 목숨을 잃은 이의 수는 840명에 달했다.
2015-2016 회계연도(80명)를 제외하고 벼락 사망자 수가 거의 매년 100명을 넘었다.
이번 2018-2019 회계연도 통계는 아직 제대로 집계되지 않았지만, 현재까지 67명이 벼락으로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네팔에서는 벼락이 떨어지는 상황에도 이에 신경 쓰지 않고 농기구나 휴대전화 등을 들고 들판으로 나가는 이들이 많은 데다 피뢰침 등 안전 설비를 갖춘 건물도 많지 않아 벼락사고가 끊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100만명당 벼락사고 사망자 수의 경우 선진국은 0.3명에 불과하지만 네팔 같은 저개발국의 경우 이 수치가 6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네팔타임스는 “해마다 세계적으로 약 2만 4,000명이 벼락사고로 숨지는데 네팔의 희생자가 가장 많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 신문은 “2015년 강진을 제외하면 벼락사고는 지난 몇 년간 네팔에서 여러 재해 가운데 가장 많은 희생자를 냈다”며 “벼락사고 사망자가 홍수로 인한 피해자 수보다 많은 셈이지만 관심을 끌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8일에도 아참 지역의 14세 어린이가 집에서 벼락을 맞아 숨졌다. 이 사고로 이 어린이 외에 주위 16명이 다쳤다.
이처럼 네팔의 벼락사고가 줄지 않은 데는 지구 온난화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평균기온이 섭씨 1도씩 올라갈 때마다 천둥·번개 활동은 12% 증가한다고 네팔타임스는 설명했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푸른 눈 시민군 돌린저 "제 이름은 임대운, 광주는 다시 태어난 곳"
- 장성군, 제21대 대통령선거 지원 대책회의
- 신안군, 공직사회 청렴도 제고 위한 청렴협의체 회의 마무리
- '안전 강군 해남 만들기'…해남군, 통합관제 안전환경 조성 속도
- 장흥군, 전남도 ‘율산 노벨문학 특화거리 조성 사업’ 선정
- 공영민 고흥군수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만드는 것이 민선8기 핵심과제"
- 보성군, 제3회 보성 티 마스터컵 대회 마무리
- 목포시, 착한가격업소 45개소로 확대 운영
- 소외 없는 여행, 모두에게 열린‘바다 가는 달’
- 춘천시공무원노조 제13대 지부장, 이우진 홍보기획팀장 선출 ... “존중받는 공무원 시대 열것” 포부 밝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현대로템, 1분기 영업익 2029억원…전년 比 354% 증가
- 2컨츄리시티즌, 2025 올댓트래블 박람회 성료
- 3로엔서지컬, 서울대병원에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 공급
- 4소진공, '대한민국 소상공인대회' 유공자 포상 접수
- 5엘브이엠씨, 최대주주 계열사 통해 지분 확대…"오버행 이슈 해소"
- 6한화오션, 인도·태평양 '함정 MRO 클러스터 협의체' 구축
- 7메리츠화재, 1분기 순이익 4625억, 전년比 5.8% 감소
- 8위암 림프절 절제술, 부담 '뚝'… 주목받는 수술법은?
- 9메리츠증권, 1분기 순이익 1874억원…전년 동기 대비 48%↑
- 10푸른 눈 시민군 돌린저 "제 이름은 임대운, 광주는 다시 태어난 곳"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