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단보도 건널 때 스마트폰 쓰면… 어린이 71.4% 사고 위험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는 생활 속 안전문제에 대한 어린이와 부모님의 인식을 조사한 ‘어린이 생활안전 실태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결과는 서울 초등학생 997명, 학부모 85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평소에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는 학생일수록 보행 중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해 사고위험성이 7.8%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률은 39.4%로 나타났고, 아차사고(사고가 났거나 날 뻔한 상황)는 사용하지 않는 학생 대비 10.7%p 높게 나타났다.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중 스마트폰을 항상 사용할 때 사고 위험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아차 사고율은 71.4%였다.
자전거를 타고 횡단보도를 건너는 어린이는 26.4%였으며, 안전장비 착용률은 42.8% 수준이었다. 초등학생이 가장 많이 타 본 이동 놀이수단은 자전거 79.7%, 퀵보드 67.3%, 인라인 스케이트 54.4% 순으로 조사됐다. 이 중 퀵보드 안전장비 착용률은 24.0%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아차사고율도 32.4%로 가장 높았다.
미세먼지가 많을 때 마스크를 항상 착용한다고 응답한 어린이는 10명 중 4명, 마스크를 한 번 사용한 후에 재사용한다는 어린이는 36.9%로 나타났다.
미세먼지가 ‘나쁨’인 날, 평일에 집에서만 논다고 응답한 어린이는 96.1%, 주말·휴일에는 73.0%가 집, 20.5%가 복합쇼핑몰이나 백화점에서 논다고 응답했다. 실내 놀이 중 다쳤거나 다칠뻔한 어린이는 54.1%, 병원에 다녀왔다는 어린이는 27.6%으로 조사됐다.
자녀가 바라본 부모의 안전운전 점수는 67.1점, 부모 스스로 응답한 79.8점보다 12.7점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운전석의 안전벨트를 매지 않는 부모는 10명 중 2명이었으며, 뒷좌석은 10명 중 6명이 안전벨트를 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NH농협은행 205억원 금융사고…대출상담사가 과다대출
- 안도걸 "지난해 대주주 3272명, 1인당 양도차익 29억 신고"
- CET1 방어 나선 금융지주…기업대출 조이기로 방향 틀어
- ‘美 관세충격’ 코스피 2500 붕괴…낙폭 일부 만회
- 핵심 인재 떠나고 빼앗기고...토스證 김규빈 리더십 시험대
- 롯데카드, 실적 부진·MBK 리스크…새 주인 찾기 ‘난망’
- 또 구설 오른 키움證, 이번엔 주문 '먹통'…점유율 1위 흔들리나
- KB국민銀, 미얀마 지진 피해 구호 성금 1억4000만원 지원
- 하나금융, 중기·소상공인 대상 총 6.3조원 긴급 금융지원
- 산업은행, 원전산업성장펀드 1000억원 조성 개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