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대율 못 지킨 신협·금고 아파트 집단대출 금지

[앵커]
금융당국이 신협 등 상호금융조합의 아파트 집단대출에 고강도 규제를 도입합니다. 신용 취약 계층 대출을 주로 하고 있는 상호금융의 대출 부실을 사전 예방해 금융권 잠재 부실을 막겠다는 것입니다. 보도에 이아라기자입니다.
[기자]
금융당국이 상호금융 조합의 집단대출에 대한 관리를 강화합니다.
올해 가계부채 관리목표인 5%대에 맞춰, 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속도도 관리하겠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 다음 달부터 제2금융권에도 DSR, 즉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관리지표를 도입합니다.
신협에는 현행 예대율규제율인 80~100%를 충족하지 못하는 조합에 집단대출 취급을 금지하기로 했습니다.
동일사업장별 취급한도도 500억원으로 기준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3월 말 기준 신협의 예대율은 77.9%입니다.
지난 2013년 7월, 금융당국은 상호금융조합의 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해 예대율을 80%로 제한한 바 있습니다.
다만 대출금 200억원 미만의 소규모 조합의 경우, 소액 수신·대출 변동으로 예대율이 크게 변할 수 있어 규제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6년 전보다 상호금융조합에 대한 대출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겁니다.
2017년 4월부터 사실상 집단대출 영업이 중단됐던 새마을금고에는 신협 수준 이상의 취급 기준을 적용하고, 대출 대비 집단대출 비중을 현 수준인 7.4% 이내로 관리하도록 했습니다.
오는 13일부터 중단됐던 영업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해주되, 고강도 규제를 부과함으로써 금고 스스로 총량 관리를 하도록 한 겁니다.
집단대출 상시관리체계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금융감독원과 상호금융권 중앙회가 분기별로 집단대출 상세현황을 파악하고, 집단대출 급증이나 건설경기 악화 등 리스크 요인이 발생할 경우 조치를 취하도록 했습니다.
저축은행과 여전업권에도 다른 업권과 마찬가지로 주택담보대출 분할상환 목표비율을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30% 중반대인 저축은행권의 분할상환 비율을 내년 말까지 43%로 올리겠다는 겁니다.
그동안 은행·보험·상호금융권엔 주담대 중 일정비율을 만기일시상환이 아닌 분할상환으로 채워야 했지만, 저축은행과 여전사엔 이런 제한이 없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아라입니다. /ara@sedaily.com
[영상편집 김담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오하임앤컴퍼니, 사명 변경...호카 리테일 오프라인 사업 인수
- 리메드, 에스테틱 기기 중심 턴어라운드 기대-KB
- SK하이닉스, HBM 출하량 호조…3Q 깜짝 실적 전망-키움
- NH농협은행, 해외점포 내부통제 강화 현장 점검
- 삼성화재, '보험의 2치' 출시…중증치료비·치매 보장
- 우리銀 베트남 투자설명회 개최…중소기업 글로벌 도약 물꼬 튼다
- 우리銀, 국민연금 수탁은행에 4회 연속 재선정
- 하나銀·산자부·HL그룹·무보, 美 관세 피해 협력업체 대상 수출금융 지원
- 한양·LS證, 부실 코스닥社 자금조달서 활발한 '팀플레이'
- 보험硏 "500만 치매 시대…한국도 지자체 보험 필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스템임플란트, 유럽 치과시장 개척 위한 ‘탄탄대로’ 뚫었다
- 2한화의 불꽃 ‘서울세계불꽃축제’…“관광산업에 긍정적 효과 창출”
- 3G마켓, 오는 30일까지 ‘한가위 빅세일’ 진행
- 4제로 슈거 소주 '새로', 출시 3년만에 판매 7억병 돌파
- 5대상 정원e샵, ‘추석 맞이 이벤트’ 진행…최대 57% 할인
- 6한화로보틱스, 위아공작기계와 '협동로봇 자동화 솔루션' 협약
- 7오하임앤컴퍼니, 사명 변경...호카 리테일 오프라인 사업 인수
- 8넥센타이어, SBTi 온실가스 감축목표 승인 획득
- 9셀트리온, 바이오 헬스 아카데미 프로그램 ‘셀온’ 1기 모집
- 10hy, ‘브이푸드 위클리’ 3종 출시…주 단위 정기배송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