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화재 원인, 관리 미흡·설치 부주의 등 인재”

지난 2017년 8월부터 올해 5월까지 23건 발생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연쇄화재와 관련해 정부가 “배터리 보호 시스템 미흡 등 여러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는 최종 결론을 내렸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늘(11일) 공식 브리핑을 갖고 “과전압 등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 시스템 미흡, 운영 환경 미흡, ESS 설치·시공상의 부주의, ESS 통합 제어·보호 체계 미흡 등 4가지 화재 위험 요인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일부 배터리 셀에서 결함을 발견했지만 실증 시험에선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LG화학이나 삼성SDI 등 개별 제조업체의 책임을 묻지는 않기로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ESS를 구성하는 배터리 관리시스템인 BMS와 에너지 관리시스템인 EMS 등의 정보 공유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것도 화재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외에도 ESS 설치·시공 과정에서 주변 지형, 온도, 습도, 배터리 이격 거리 등을 고려하지 않은 점과 설치 이후 ESS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은 점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목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새로운 ESS 안전 관리 기준과 규격을 각시설마다 적용할 방침”이라면서 “가동 중단된 ESS 시설에 대해서는 옥외이전과 방화벽 설치, 소방시설 의무화 등 안전 조치를 취하고 점검한 뒤 재가동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김혜영기자 jjss123456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김환기의 ‘무제’ 아트픽서 공개…한국 추상미술의 정수를 만나다
- [인사] 대보그룹
- LS마린솔루션, 3분기 영업익 21억원…매출 3분기 기준 최대
- 서울에서 내 집 찾기…“규제 피해간 틈새상품을 노려라”
- 한국후지필름, 금천장애인복지관 컬링대회 후원 나서
- 홈캐스트, 제네시스랩과 손잡고 ‘AX 사업’ 본격화
- BGF그룹, 2026년 조직 개편·정기 인사 단행
- 영풍 석포제련소, 경북 봉화군에 겨울철 화재 예방 위한 물품 지원
- 시엘결혼정보, 월구독형 결혼정보서비스 ‘월간 시엘’ 론칭
- 알테오젠, 3분기 누적 매출액 1514억·영업이익 873억…역대 최대 실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