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세계 제조업의 미래 선도하는 ‘등대공장’ 선정

포스코가 국내 기업 처음으로 세계 제조업의 미래를 선도할‘등대공장’으로 선정됐다. 포스코는 7월 1일부터 3일까지 중국 다롄에서 열린 2019 세계경제포럼에서 ‘등대공장(Lighthouse factory)’으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등대공장은 어두운 밤하늘에‘등대’가 불을 비춰 길을 안내하듯,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적극 도입해 세계 제조업의 미래를 혁신적으로 이끌고 있는 공장을 뜻한다. 지난해부터 세계경제포럼은 전세계 공장들을 심사해 매년 2차례씩 발표하고 있다. 국내 기업이 등대공장으로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발표 전까지 선정된 등대공장은 유럽 9곳, 중국 5곳, 미국 1곳, 사우디아라비아 1곳 등 총 16곳이다. 지멘스, BMW, 존슨앤존슨, 폭스콘 등 유수의 기업들이 선정됐다. 이번 발표로 포스코를 포함한 전 세계 10곳이 등대공장으로 새롭게 등재됐다.
세계경제포럼은 “포스코는 철강산업에서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고 있고, 대학·중소기업·스타트업들과의 협력 생태계를 구축해 상호협력을 통해 철강산업 고유의 스마트 공장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며 포스코의 등대공장 선정 이유를 밝혔다. 포스코 최정우 회장은 지난해 취임 이후 “세계 최고 수준의 프리미엄 제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실효성 있는 스마트 기술을 생태계 전반에 적용, 안전하고 경제적인 생산체제 구축에 집중함으로써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고히 하겠다”며 포스코 스마트팩토리 체계 구축에 적극 앞장서왔다. 이에 포스코는 지난 50년간 축적된 현장 경험과 노하우에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을 전 생산공정에 접목해 최적의 생산현장을 구현함으로써 최고 품질의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철강기술을 선도하는 글로벌 철강사로서의 롤모델 역할을 적극 수행해왔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이번 등대공장 선정에 앞서 스마트팩토리 기술 중 △스마트 고로 기술, △CGL(Continuous Galvanizing Line, 용융아연도금공장) 도금량 자동제어기술, △ 압연 하중 자동배분 기술 등 AI기술 적용 사례와 현황을 세계경제포럼에 제출하고, 글로벌 컨설팅사 맥킨지&컴퍼니는 현장 방문을 해 관련 기술을 검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포스코의 도금량 자동제어기술과 스마트고로 기술을 ‘국가핵심기술’로 지정하기도 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스마트기술을 현장에 더욱 폭 넓게 적용해나가는 것은 물론 벤처, 중소기업, 협력사에 대한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대한민국 경제 생태계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김혜영기자 jjss123456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팀업그레이드, Pre-A 투자 유치 성공…시장 확대 본격화
- 트렌비, 중고 명품 C2B 경매 서비스 '트렌비 경매' 론칭
- 한국맥도날드, 기부 걷기 행사 ‘2025 맥도날드 해피워크’ 성료
- 현대그린푸드, 국산 쌀 소재 '메디푸드' 개발 나서
- 대상 청정원, 신제품 ‘콩담백면 매콤짜장면’ 출시
- 삼양식품 ‘맵탱 후레시맵’ 캠페인 성료
- 코드트리, 전국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2025 ACPC’ 성료
- 농심, 송하슬람 셰프와 '제철맞은 칼빔면' 선보인다
- 아영FBC, '저칼로리' 디아블로 비라이트 로제·레드 출시
- 켐토피아, 카본슬림 실측 기반 자동화로 글로벌 인증 동시 획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