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둘레 90cm 이상이면 암 발생 위험 높아져… 398만 명 조사

건강·생활 입력 2025-07-21 10:53:10 수정 2025-07-21 10:53:10 이금숙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비만 관련 지표인 체질량지수와 허리 둘레에 따른 암 발생 위험에 대한 조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김성혜 교수,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기반으로 2009년부터 2020년까지 건강검진 이력이 있는 사람 약 398만 명(남성 약 220만, 여성 약 178만)을 평균 9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가 담겼다. 

이번 연구에서는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와 같은 비만 지표와 암 발생 위험 사이의 비선형적인 관계(특정 구간에서 암 발생 위험이 더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양상)를 스플라인 곡선을 통해 심층적으로 파악했다. 

연구에 따르면 이들의 평균 나이는 46.7세로, 전체 대상자의 6.1%(24만 2243명)가 연구기간 내 암을 진단받았고, 그 중 남자는 13만 5299명, 폐경 전 여성 4만 662명, 폐경 후 여성 6만 6282명이었다.

연구팀은 “전체 암 발생 위험은 남성에서 허리둘레가 증가할수록 함께 높아지고, 허리둘레가 낮아질수록 그 위험도 낮아지는 선형적인 관계를 보였다”고 밝혔다.

반면, 체질량지수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비만으로 분류되는 체질량지수 25 kg/m² 이상부터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비선형적인 경향을 나타냈다”고 전했다.

암종에 따라 비만으로 인한 암의 발생 위험도 다양했다.

예를 들어 간암의 경우 남성에서 비만 지표와 암 발생 간에 비선형적인 관계가 관찰되었는데, 체질량지수가 25 kg/m² 이상이거나 허리둘레가 90 cm 이상일 때부터 간암 발생 위험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담도암 역시 체질량지수 25 kg/m² 이상부터 위험이 증가하는 비선형적 관계를 보였다. 

폐암의 경우 남성에서 체질량지수 23 kg/m² 이하, 즉 적정 체중 이하에서는 체질량지수가 낮을수록 폐암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적정 체중 이상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지 않은 비선형적인 관계가 관찰됐다. 

또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에 비만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13개 암 외에도 골수성 백혈병, 비호지킨 림프종 등 다양한 암의 발생이 비만 및 복부 비만과 관련 있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김성혜 교수는 “다양한 암이 비만 및 복부 비만과 관련 있지만 성별과 폐경 상태 등에 따라 그 연관성의 양태가 달라 맞춤형 암 예방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 연구”라고 설명했다.

신동욱 교수는 “암 발생 고위험군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와 함께, 향후 개인별 암 예방 및 관리 정책 수립에 이번 연구 결과가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이금숙 기자

kslee@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