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S 미상환 잔액 1년새 20% 증가…상환액은 28% 줄어

금리연계 파생결합증권(DLS) 미상환 잔액이 최근 1년 사이에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기 상환에 실패한 채 불안에 빠진 투자자들이 늘었다는 의미다.
26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SEIBro)에 따르면 이달 23일 현재 국내에서 발행된 DLS(파생결합사채는 제외) 미상환 잔액은 18조6,923억원으로 약 1년 전인 지난해 8월 말(15조5,648억원)보다 20.1% 증가했다. 작년 말 16조3,189억원 수준에서 올해 6월 말 18조3,57억원으로 6개월 새에 2조원가량 급증했고 그 뒤 두 달간도 3,866억원(2.1%) 늘어났다. DLS 발행 주체인 증권사별 미상환 잔액(23일 기준)을 보면 하나금융투자가 4조4,257억원으로 가장 많고 NH투자증권(3조4,405억원), KB증권(1조7,672억원), 신한금융투자(1조3,348억원), 미래에셋대우(1조2,372억원), 삼성증권(1조2,327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무엇보다 상환액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8월부터 올해 7월까지 1년간 상환된 금액은 14조9,504억원으로 직전 1년간(2017년 8월∼2018년 7월)의 상환액(20조8,042억원)보다 28.1% 줄었다. 같은 기간 DLS 발행액은 18조1,048억원에서 18조2,174억원으로 0.6%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편, 월별 DLS 발행액은 지난해 8월 1조814억원 수준에서 올해 1월 1조2,670억원, 3월 1조7,635억원, 5월 1조9,150억원, 6월 2조3,070억원 등으로 급증세를 보였다./고현정기자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부고] 오익근(대신증권 대표이사 사장)씨 모친상
- 상반기 '한정 의견' 상장사 속출…시장 퇴출 '마지노선'
- 석화업계 구조개편에 금융권도 지원…채권은행 '사업재편 타당성' 본다
- 삼성증권, '혁신 스타트업 재무솔루션' 지원 위해 KAIST와 MOU
- 금융사 교육세율 두배로…2금융권 반발 확산
- “구조조정으로 살아날까” 냉온탕 오가는 석화株
- 미래에셋생명, 호실적 힘입어 주주환원 강화 나선다
- 의무 보유 확대에…'스팩 우회상장' 택하는 中企
- BNK금융, '해양금융' 강화…"지역 산업 기반 새 기회"
- 인터넷은행 3사 2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 30% 상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익근(대신증권 대표이사 사장)씨 모친상
- 2SKT, 대한민국 사회적가치 페스타서 ESG 방향 모색
- 3SK·한화·LG 등 재계 총수들 방미사절단 '출국'
- 4대구행복진흥원, 팔공산 달빛걷기대회 참가. . . 기관 홍보 활동 실시
- 5수성구, 2025 하반기 찾아가는 미래마을교육 본격 추진
- 6수성구 범물종합사회복지관, 지역 유관기관과 ‘스마트 정신건강 안심 복약서비스’ 협약 체결
- 7차규근 의원 “대출 규제 시행하자 강남구 갭투자 ‘전멸’ 했다“
- 8SK온·에코프로 '맞손'…폐배터리 순환 생태계 구축
- 9안보실장 “한일 정상, 회담서 관세 협상 소통"
- 10LG AI대학원, 국내 첫 교육부 인가 사내대학원 출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