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S 미상환 잔액 1년새 20% 증가…상환액은 28% 줄어

금리연계 파생결합증권(DLS) 미상환 잔액이 최근 1년 사이에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기 상환에 실패한 채 불안에 빠진 투자자들이 늘었다는 의미다.
26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SEIBro)에 따르면 이달 23일 현재 국내에서 발행된 DLS(파생결합사채는 제외) 미상환 잔액은 18조6,923억원으로 약 1년 전인 지난해 8월 말(15조5,648억원)보다 20.1% 증가했다. 작년 말 16조3,189억원 수준에서 올해 6월 말 18조3,57억원으로 6개월 새에 2조원가량 급증했고 그 뒤 두 달간도 3,866억원(2.1%) 늘어났다. DLS 발행 주체인 증권사별 미상환 잔액(23일 기준)을 보면 하나금융투자가 4조4,257억원으로 가장 많고 NH투자증권(3조4,405억원), KB증권(1조7,672억원), 신한금융투자(1조3,348억원), 미래에셋대우(1조2,372억원), 삼성증권(1조2,327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무엇보다 상환액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8월부터 올해 7월까지 1년간 상환된 금액은 14조9,504억원으로 직전 1년간(2017년 8월∼2018년 7월)의 상환액(20조8,042억원)보다 28.1% 줄었다. 같은 기간 DLS 발행액은 18조1,048억원에서 18조2,174억원으로 0.6%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편, 월별 DLS 발행액은 지난해 8월 1조814억원 수준에서 올해 1월 1조2,670억원, 3월 1조7,635억원, 5월 1조9,150억원, 6월 2조3,070억원 등으로 급증세를 보였다./고현정기자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 "사고 싶어도 못 사요"…플랫폼 한계에 'K쇼핑' 문턱 못넘는 외국인들
- 상상인저축 M&A 무산…저축은행 재편 '안갯속'
- "기대 너무 컸나"…세제안 실망에 증시 급락 전환
- 금융사 교육세율 인상…초과이익 환수 시동
- 김성태 기업은행장 " 中企 금융 양적·질적 선도·내부통제 강화할 것"
- 한화자산운용, 'PLUS 고배당주' ETF 주당 분배금 6.5% 인상
- 토스증권, '서버 개발자' 집중 채용…8월 17일까지 접수
- 상장 앞둔 에스엔시스 “글로벌 조선해양산업 대표기업 될 것”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서로에게 너무 당연한 태도가 불러오는 갈등
- 2안지선(헤일리온코리아 본부장) 부친상
- 3조현, 美상원·백악관 인사와 면담…"전략적 경제 협력 심화"
- 4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5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6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 의혹 IMS·사모펀드 대표 동시 소환
- 7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8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9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10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