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5개월 만에 반등…기대인플레율은 첫 1%대로 하락

이번 달 소비심리가 5개월 만에 반등했다. 8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사실상 마이너스로 떨어지면서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조사 이래 처음으로 1%대까지 낮아졌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6.9로 한 달 전보다 4.4포인트 올랐다.
CCSI는 소비자의 체감 경기를 보여주는 지표로 지수가 100보다 작으면 소비자들의 심리가 장기평균(2003∼2018년)보다 비관적임을 뜻한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올해 4월 101.6까지 오른 뒤 8월 92.5까지 4개월 연속 하락했다가 이번 달 상승했다. 다만 지수가 기준치인 100보다 작은 만큼 경기와 가계의 지갑 사정을 부정적으로 본 응답자들이 여전히 더 많았다.
한은은 소비자심리지수 상승 배경으로 무역분쟁 완화 기대, 주가 상승, 국내외 경기 부양책 등을 꼽았다.
소비심리 조사 기간(9월 10∼17일)에는 무역분쟁 낙관론이 퍼졌었으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 유엔 총회 연설에서 중국을 고강도로 비판한 만큼, 미중 관계에 대한 불확실성은 커진 상황이다.
응답자들이 앞으로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어떻게 전망하는지를 보여주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한 달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한 1.8%로, 2002년 2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다.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2013년 9월 2.9%를 나타낸 후 올해 8월까지 5년 11개월 동안 2%대에서 머물렀으나 이번달 1%대로 내려앉았다. 농산물·유가 하락 및 수요 측 물가 상승 압력 둔화 우려가 겹치며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한은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향후 물가 상승률이 현재보다 낮아진다고 보는 상황”이라며 “기대인플레이션율 하락이 소비둔화에 영향을 미칠지 예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복수응답)을 묻는 질문에는 석유류제품(52.3%)이 1위였고 공공요금(42.0%)·농축수산물(24.1%)이 뒤를 이었다.
지난 1년 동안 소비자물가가 얼마나 오른 것 같은지를 나타내는 물가인식도 0.2%포인트 내린 1.9%로 통계 편제를 시작한 2013년 1월 이후 가장 낮았다.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생활형편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3포인트 오른 92였다. 가계수입전망 CSI도 3포인트 오른 97이었다./김성훈기자 bevoic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인천시, 생계형 체납자에 ‘맞춤형 지원’ 펼쳐
- 파주시, 공공도서관에...‘리박스쿨’ 도서 퇴출 결정
- 북수원테크노밸리, "AI가 열어가는 자족형 15분 도시로"
- 김정헌 중구청장 “제물포구 성공, 주민 화합이 답”
- 동두천시, ‘환경·안전 도시’로 재도약 밑그림
- 의정부시, 보훈단체별 간담회… “현장 목소리 정책에 담는다”
- 남원시의회 경제농정위, 민생 현안 점검…"시민 체감 성과 중요"
- "폐교부지에서 새로운 가능성" 남원글로컬캠퍼스 현장 간담회 열려
- 남원시, 신청 기반 노인복지사업 적극 홍보…어르신 혜택 확대
- 고창군, 제1회 청년상 수상자 '주지은·이동일' 선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김병환 금융위원장 조용한 퇴임…"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
- 2인천시, 생계형 체납자에 ‘맞춤형 지원’ 펼쳐
- 3파주시, 공공도서관에...‘리박스쿨’ 도서 퇴출 결정
- 4북수원테크노밸리, "AI가 열어가는 자족형 15분 도시로"
- 5김정헌 중구청장 “제물포구 성공, 주민 화합이 답”
- 6동두천시, ‘환경·안전 도시’로 재도약 밑그림
- 7의정부시, 보훈단체별 간담회… “현장 목소리 정책에 담는다”
- 8'이상지질혈증 패싱'은 언제까지…고혈압·당뇨처럼 제도적 지원을
- 9나노실리칸 "신사업 추진 이상無…IR 통해 성과 공개 예정"
- 10남원시의회 경제농정위, 민생 현안 점검…"시민 체감 성과 중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