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원금비보장형 DLS 발행, 3년 7개월만 최저…"DLF사태 영향"

지난달 원금비보장형 파생결합증권(DLS) 발행 규모가 반절로 떨어지면서 3년 7개월 만의 최저 수준을 보였다.
3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8월 중 원금비보장형 DLS 발행액은 9,957억원으로 전월보다 49.8% 감소했다. 발행 건수는 242건으로 38.9% 감소했다. 월간 DLS 발행액은 2016년 1월(8,587억원) 이후 3년 7개월 만의 최저치로, 올해 월평균 발행액(1조6,328억원)보다 39.0% 적다.
이처럼 원금비보장형 DLS 발행액이 크게 줄어든 것은 개인 투자자들에게 수천억원의 손실을 가져온 DLF 사태로 DLS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DLF 사태에서 문제가 된 상품은 영국과 미국의 이자율스와프(CMS) 금리 및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를 활용한 원금비보장형 DLS를 담은 펀드(DLF)다. 은행을 통해 판매된 해당 상품들은 이번 달 만기가 도래하기 시작하면서 실제로 대규모 손실이 확정되기도 했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지난 8월 은행, 증권사, 자산운용사를 상대로 해당 상품의 설계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에 대한 검사에 나섰고 조만간 검사 중간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국회 정무위원회의 10월 국정감사는 금융위원회가 4일, 금융감독원은 7일로 각각 예정돼 있다.
한편 DLS 발행은 앞으로도 당분간 원금비보장형 상품을 중심으로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현정기자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서울보증 사태 재발 막자"…정부, 징벌적 과징금 추진
- 韓증시 호평하던 글로벌IB, 세제안 발표에 '급유턴'
- 카카오뱅크, 역대 최대 실적…수익 다각화는 과제
- 기업銀, 영천시 화재피해 중소기업 1000억원 긴급 자금 지원
- 갤럭시아머니트리, 위버스에 '신용카드 결제서비스' 제공
- 벡트, 'AI 전자칠판' 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 금투협, '자산운용사 백오피스 운용지원·세무회계' 과정 개설
- 삼성운용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순자산 5000억원 달성
- 이니텍, 분주한 손바뀜…어른거리는 '엔켐·광무' 그림자
- 헝셩그룹 "글로벌 스포츠 행사 공식 굿즈 사업 호조"
댓글
(0)